부하 사망 뒤 죄책감, 16년 뒤 극단선택 전직 장교…대법 '인과관계 인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하 병사의 사망 사고 뒤 죄책감에 시달리던 전직 장교가 16년이 지나 극단적 선택을 한 것에 대해 대법원이 직무와의 인과관계를 인정했다.
반면 대법원은 "고인이 복무 중 벌어진 부하 병사의 사망 사고에 대한 죄책감 등 직무상 스트레스로 정신질환적 소인이 악화해 발병했거나, 자연 경과 이상으로 악화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며 "직무수행과의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하 병사의 사망 사고 뒤 죄책감에 시달리던 전직 장교가 16년이 지나 극단적 선택을 한 것에 대해 대법원이 직무와의 인과관계를 인정했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숨진 A씨의 배우자가 국가보훈처 산하 지방보훈지청을 상대로 낸 소송을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장교로 복무하던 A 씨는 2001년 부하인 병장이 부대에서 작업을 하던 중 사고로 사망한 이후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2010년 조현병 진단을 받았다. 이후 A 씨는 2015년 공무상 상병으로 전역했고 2017년 극단적 선택을 했다.
A 씨의 배우자는 고인이 편집성 조현병과 우울증, 수면 장애에 시달렸다며 국가유공자 등록을 신청했으나 보훈보상 대상자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고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1심은 "고인이 2001년 부하가 사망한 후 스트레스를 받고 망상을 겪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지만, 진료받기 시작한 시점이 2010년께로 부하의 사망 사고만 조현병의 원인이 됐다고 보긴 어렵다"며 보훈처의 손을 들어줬다. 2심도 같은 판단을 내렸다.
반면 대법원은 "고인이 복무 중 벌어진 부하 병사의 사망 사고에 대한 죄책감 등 직무상 스트레스로 정신질환적 소인이 악화해 발병했거나, 자연 경과 이상으로 악화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며 "직무수행과의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고인이 임관 전까지 건강이 양호했고 별다른 정신질환 증세가 없었으며 가족력도 확인되지 않는다"며 "부하 병사의 사망 사고라는 명확한 외적 스트레스 요인을 겪으면서 조현병 증상이 발생하거나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자친구가 사고로, 남친이 안 보여요"…이태원 곳곳서 망연자실
- [르포] "젊은이들, 바로 옆에 시신 보고도 코스튬 차림으로 사진 찍고 놀고 있더라"
- "단체로 '뒤로'를 '밀어'로 들은 듯, 혼란 있었나" 이태원 참사 직전 증언
- '이태원 압사' 생존자 증언 "사람들 쓰러지는데 계속 밀어…죽는구나 싶었다"
- 이태원 참사, 왜 세월호와 비교하나 "사람이 죽었는데…정치병자들"
- 윤 대통령 사과, 보수층은 결집하겠지만…지지율 반등은 '글쎄' [정국 기상대]
- 한 총리,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국민께 죄송한 마음 전달"
- 적은 내부에?…트럼프 올라탄 K-방산, 수출 동의 받으라는 민주당
- 반세기 넘는 생명력…뮤지컬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7일 개막
- 야구 미련 남지 않은 추신수 “최고의 순간은 2022년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