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서탑 사리장엄구' 국보로 승격된다

이종길 2022. 10. 31. 09: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백제 공예품의 정수(精髓)인 보물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가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고 31일 전했다.

김은영 문화재보존국 유형문화재과 연구관은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백제 왕실에서 발원해 제작한 것으로, 석탑 사리공에서 봉안 당시 모습 그대로 발굴돼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엄 연구에 있어 절대적 기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봉안 모습 그대로 발굴…사리장엄 연구 절대 기준
"최고급 금속 재료와 백제 금속공예 기술 응집"

백제 공예품의 정수(精髓)인 보물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가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고 31일 전했다.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탑의 중심 기둥) 사리공(사리를 넣을 크기로 뚫은 구멍)에서 나온 유물이다. 절대연대를 기록한 금제사리봉영기(金製舍利奉迎記)와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 금제사리내호(金製舍利內壺), 청동합(靑銅合) 등 아홉 점으로 구성됐다. 사리장엄구를 사리를 불탑에 안치할 때 사용하는 용기나 함께 봉인되는 공양물을 통칭한다.

금제사리봉영기는 얇은 금판 앞뒷면에 각각 열한 줄씩 193자가 새겨져 있다. 좌평(佐平) 사택적덕(沙宅積德)의 딸인 백제 왕후가 재물을 시주해 사찰을 창건하고 639년에 사리를 봉안해 왕실의 안녕을 기원한다는 내용이다. 삼국유사를 통해 전해진 미륵사 창건 설화의 조성 연대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제시한다. 곡선미와 우아함이 돋보이는 서체도 한국 서예사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금동사리외호와 금제사리내호는 몸체의 허리 부분을 돌려 여는 구조다. 동아시아 사리기에서 유사한 사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독창적이다. 선의 흐름이 유려하고 양감과 문양의 생동감이 뛰어나 세련된 멋이 한껏 드러난다.

청동합은 크기가 각기 다른 여섯 점의 합금 그릇이다. 그중 하나에는 '달솔(達率) 목근(目近)'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달솔이라는 벼슬을 한 목근이라는 인물이 시주했음을 뜻한다. 녹로(??)로 성형한 동제 그릇으로서 그 일부는 우리나라 유기 제작 역사의 기원을 밝혀줄 중요한 사례로 거론된다. 녹로는 그릇을 만들거나 문양을 넣을 때 사용하는 돌림판이다.

김은영 문화재보존국 유형문화재과 연구관은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백제 왕실에서 발원해 제작한 것으로, 석탑 사리공에서 봉안 당시 모습 그대로 발굴돼 고대 동아시아 사리장엄 연구에 있어 절대적 기준이 된다"고 설명했다. "최고급 금속재료와 백제 금속공예 기술의 역량을 응집해 탁월한 예술품으로 승화시켰다"며 "7세기 전반 백제 금속공예 기술사를 증명하는 동시에 동아시아 사리 공예품의 교류를 가리켜 역사·학술·예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