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이미 60명 숨져있었다"…겨우 현장 진입한 의료진 충격

어환희, 심정보, 황수빈 2022. 10. 30. 16: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갔을 때 누워 있는 시신을 보고 너무 놀랐습니다.”
30일 오전 0시 29분 이태원참사 현장을 목격한 이시진 고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당시의 참혹한 심경을 이렇게 전했다. 그의 눈 앞에 이미 시신 50~60구가 있었다고 한다. 그가 현장에 출동한 것은 병원 내 권역응급의료센터로부터 재난의료지원팀(DMAT)에 출동 요청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보건소에서) 초기대응팀이 출발했고 그쪽에서 보기에 감당이 안 될 것 같다고 하면 권역응급센터 쪽에 연락해 DMAT에 출동 요청을 준다”고 당시의 급박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30일 새벽 현장에 급파된 의료진들이 부상자 구조활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역응급센터를 보유한 재난거점병원에는 의사·간호사·응급구조사 등 3~4명이 한 팀으로 구성된 ‘DMAT’이 꾸려져 있다. 이들은 재난 등이 발생했을 때 출동할 수 있도록 24시간 대기한다. 서울·경기 지역에는 총 14개 재난거점병원이 있다. 이날 복지부는 이태원참사로 인해 14개 병원에서 15개 DMAT 팀이 출동했다고 밝혔다.

현장에 도착한 이 교수 팀은 사망 추정 피해자와 부상자를 상태에 따라 분류했다고 한다. 중증도에 맞는 처치를 하고 병원에 이송될 수 있도록 조율하면서 이날 시신과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했다. 사고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순천향서울병원에 이날 새벽 79구의 시신이 이송됐다고 한다. 그밖에 국립중앙의료원, 이대목동병원, 강북삼성병원, 서울성모병원, 중앙대병원, 서울대병원, 고대안암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 등으로 이송이 진행됐다.


“의료진 현장 진입 쉽지 않아”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톤 호텔 부근 도로에 시민들이 몰려 있다. 이날 핼러윈 행사 중 인파가 넘어지면서 다수 사상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의료진 도착 시점에도 수만 명의 인파가 있어서 현장 진입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현장에 DMAT을 파견한 서울의료원 측 관계자는 “(병원이 사고 현장에서) 거리가 있는 탓에 요청받고 바로 출발해 새벽 1시 정도에 도착했고, 그때는 간단한 외상 환자들이 있는 상황이었다”면서 “그런데도 교통상황이 안 좋고, 도저히 구급차가 들어갈 상황이 못돼서 의료진이 장비를 모두 챙겨서 걸어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사망 원인을 일괄적으로 단정할 수는 없지만, 외상성 질식사를 주요 원인으로 가정한다면 심폐소생술(CPR)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좁은 골목에 끼어있고 눌려있어서 구출도, CPR 제공도 늦어지면서 안타깝게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사람이 숨을 쉬려면 가슴(흉곽)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작용이 필요한데, 가슴이 강하게 눌린 상황에서는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워 질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자발 순환(다시 정상적으로 심장이 뛰는 상황) 회복 여부는 ‘얼마나 빨리 CPR을 제공하는가’에 달려 있는데 일반적으로 5~6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제공해야 뇌가 비가역적 손상을 피할 수 있다고 한다.


“심폐소생술 5~6분 이내에 제공해야”


이 교수는 또 “CPR에서 심장 압박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구조 호흡이 굉장히 중요한 경우가 있다. 심정지 원인이 질식이나 익사인 경우”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성인 CPR의 경우 ‘30대 2(심장 압박 30번·구조호흡 2번)’가 원칙이다. 그는 “코로나19 때문에, 낯선 사람이어서, 또는 심정지 환자들이 얼굴에 토사물이 묻어있는 경우가 있어서 등 다양한 이유로 구조자 입장에서 구조호흡이 쉽지 않을 수 있는데 질식은 호흡을 못 해서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이기 때문에 구조호흡이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사고 현장 목격담 일부에서 제기된 복부 팽창과 관련해서는 “사망 원인과 직결하긴 힘들다”고 이 교수는 말했다. 그는 “구조호흡을 하면서 공기가 폐뿐 아니라 위로 가면서 팽창될 수 있고, 압력에 의해 장기 손상이 있었을 수도 있고, CPR 압박 위치가 잘못되면서 위나 십이지장이 손상돼 공기가 샐 수도 있다”면서 “응급실에 (복부팽창) 환자가 왔을 때도 X-RAY, 초음파, CT 등으로 봐야 배 안에 가스가 찼는지, 피가 나는지, 장이 터졌는지 등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어환희 기자 eo.hwanh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