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부화시키는 수컷..'형광 입 30cm' 물고기 미스터리 풀렸다

조홍섭 2022. 10. 17. 16: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미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비늘베도라치 과의 바닷물고기는 자기 몸의 3배에 이르는 거대한 입을 벌리고 대결을 벌이는 모습으로 유명하다.

다 자라면 30㎝에 이르는 입 큰 베도라치는 툭 튀어나온 눈과 붉은 바탕에 형광 테두리를 두른 입이 눈길을 끄는 화려한 물고기이다.

연구자들은 "이 베도라치의 큰 입과 화려한 색깔은 수컷의 크기와 건강 상태를 알려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물리적 충돌을 막는 효과를 거둔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형광테 입 펼쳐 크기 과시..수컷끼리 경쟁용
조개 등 집 마련해 암컷이 알 낳으면 직접 돌봐
빈 조개껍데기 집을 지키기 위해 경쟁자 수컷을 향해 큰 입을 벌리는 비늘베도라치의 일종(Neoclinus blanchardi). 왓챠라퐁 홍잠랏실프 제공.

북미 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비늘베도라치 과의 바닷물고기는 자기 몸의 3배에 이르는 거대한 입을 벌리고 대결을 벌이는 모습으로 유명하다. 이 베도라치의 큰 입이 무슨 용도로 쓰이는지 밝혀졌다.

왓챠라퐁 홍잠랏실프 태국 출라롱코른대 박사 등은 과학저널 ‘생태학’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거대한 입이 진화한 특별한 기능이 있다”며 “잠수 관찰과 연구실 실험을 통해 이 행동은 짝짓기나 다른 종을 위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동종의 수컷 경쟁자를 물리치기 위한 것임이 분명해졌다”고 밝혔다.

다 자라면 30㎝에 이르는 입 큰 베도라치는 툭 튀어나온 눈과 붉은 바탕에 형광 테두리를 두른 입이 눈길을 끄는 화려한 물고기이다. 바다 밑바닥의 빈 조개껍데기나 바위틈에 마련한 집을 지키는 데 온 힘을 기울인다.

버려진 플라스틱 튜브 집에서 머리만 내밀고 주위를 감시하는 비늘베도라치의 일종. 위키미디어 코먼스

집이 중요한 까닭은 암컷이 마음에 드는 수컷의 집에 낳을 낳기 때문이다. 수컷은 알을 수정시킨 뒤 부화할 때까지 지키면서 산소를 불어 넣고 오물을 제거한다.

집이 없으면 짝짓기도 자손을 남기지 못하기 때문에 집을 둘러싼 경쟁은 치열하다. 이 베도라치는 조개껍데기뿐 아니라 버려진 플라스틱 튜브나 유리병에 숨은 채 머리만 내놓고 문어나 다른 종의 물고기가 둥지에 접근하면 쫓아낸다.

입을 있는 대로 벌린 비늘베도라치의 일종. 형광 테두리와 한가운데 날카로운 이가 눈길을 끈다. 왓챠라퐁 홍잠랏실프 제공.

그렇다면 베도라치의 화려하고 큰 입은 공작의 장대한 꽁지깃처럼 짝짓기용 과시물일까. 연구자들은 관찰 결과 뜻밖에 암컷을 만난 수컷은 크고 멋진 입을 벌리는 대신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다른 행동을 했다.

연구자들은 이 베도라치 수컷 15마리를 포획한 뒤 수조에 조개껍데기 하나에 수컷 2마리를 넣어 이들 사이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70%의 상황에서 전면적인 입 벌리기 대결이 벌어졌다.

상대가 접근하면 입을 벌려 머리를 덮을 정도로 거대한 역삼각형 막을 펼친다. 막 테두리는 형광빛 띠가 둘러 있고 한가운데는 일련의 날카로운 앞니가 두드러진다. 싸움은 대개 덩치가 크고 따라서 입도 큰 수컷의 판정승으로 끝나지만 종종 상대를 물어뜯는 격렬한 싸움으로 비화하기도 한다.

연구자들은 “이 베도라치의 큰 입과 화려한 색깔은 수컷의 크기와 건강 상태를 알려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물리적 충돌을 막는 효과를 거둔다”고 밝혔다. 애초 무기로 진화한 베도라치의 입이 불필요한 싸움을 예방하는 신호장치로 변신한 셈이다.

인용 논문: Ecology, DOI: 10.1002/ecy.3878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