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대북제재위 "北, 미사일 기술적 성과..핵실험 최종단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를 회피하면서 미사일 개발에 기술적 성과를 거두었고, 핵실험 준비도 최종 단계에 진입했다는 유엔의 평가가 나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전문가패널 보고서를 공개했다.
전문가패널은 북한이 올해 1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총 16차례에 걸쳐 31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면서 기술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북한이 국제사회의 제재를 회피하면서 미사일 개발에 기술적 성과를 거두었고, 핵실험 준비도 최종 단계에 진입했다는 유엔의 평가가 나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전문가패널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과거 자진 폐쇄했던 풍계리 핵실험장을 재개방한 뒤 기폭장치를 시험하고, 새 갱도를 파 추가 핵실험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풍계리 핵실험장은 2018년 북한이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했다고 선전했지만, 북미 비핵화 협상이 중단된 뒤 시설복구와 확장 공사가 시작됐다.
전문가패널은 지난 3월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에 대한 복구에 나선 사실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또한 핵실험과 관련한 건물도 재건축한 것으로 확인됐다. 위성사진 분석 결과 지난 2월 중순부터 다수의 차량이 출입구 근처에 다닌 흔적이 보였고, 구조물 공사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목재 더미도 터널 입구에서 발견됐다.
전문가패널은 북한이 올해 1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총 16차례에 걸쳐 31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면서 기술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미사일의 액체연료와 고체연료의 운용 과정을 최적화하고, 육로뿐 아니라 철도와 잠수함을 이용하는 등 미사일 운반시스템을 다양화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옛 소련제 RD-250 트윈 엔진을 모방해 개발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의 효율을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 보고서는 연 2회 발간된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올해 1월 말부터 7월 말까지 안보리 대북 제재 이행 현황을 담았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달리며 기부하던 가수 션, 직원 뽑으려다 눈물의 사과 왜? - 아시아경제
- 나훈아, 야권 비판에 "자기 일이나 똑바로 해라…용서 못해" - 아시아경제
- 김희철 "사실 어디서도 밝히지 않은 건데…" 뒤늦은 충격 고백 - 아시아경제
- "3분간 여자 껴안는데 9000원"…일본에 있다는 카페 논란 - 아시아경제
- "위·아래서 찍고 맛있다 박수치고"…식당 전세 낸 먹방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7일이냐 31일이냐…계산기 두드려본 정부 "27일이 낫다" - 아시아경제
- 갑자기 '사각형'으로 모양 바꾼다는 과자…팬들 "만우절이냐" 폭발 - 아시아경제
- 노후주택 매입한 현빈, 이 방법으로 140억 시세차익 - 아시아경제
- 100년 전 일본인 4만명 앗아간 '불기둥'…LA에도 나타났다 - 아시아경제
- "비트코인 8000개 찾아야 해"…10년간 쓰레기장 뒤진 남성 근황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