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화학상 버토지·멜달·샤플리스 공동 수상

김상도 2022. 10. 5. 21: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노벨화학상은 분자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생물직교 클릭 화학' 분야의 기초를 마련한 화학자 3명이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20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캐럴린 버토지 미 스탠퍼드대 교수, 모르텐 멜달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배리 샤플리스 스크립스 연구소 박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자들의 연구 주제는 '생체직교 클릭 화학'이라는 분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노벨 위원회가 20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화면 왼쪽부터 수상자인 캐럴린 R. 버토지, 모르텐 P. 멜달, K. 배리 샤플리스. AFP/연합뉴스

올해 노벨화학상은 분자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생물직교 클릭 화학’ 분야의 기초를 마련한 화학자 3명이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20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캐럴린 버토지 미 스탠퍼드대 교수, 모르텐 멜달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배리 샤플리스 스크립스 연구소 박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생물직교 클릭 화학은) 매우 간단한 경로를 통해 분자가 결합해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선정의 이유를 밝혔다.


특히 샤플리스 박사는 앞서 2001년 노벨 화학상에 이어 두번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01년 카이랄성 촉매 반응 연구로 노요리 료지 일본 나고야대 석좌교수, 윌리엄 놀스 미국 몬산토사 전 연구원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바 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자들의 연구 주제는 ‘생체직교 클릭 화학’이라는 분야다. 화학계에선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잡한 구조의 분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를 활용하면 전에 없던 이로운 화학물질을 만들 수 있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


사플리스와 멜달 교수는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처럼 분자 구성요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바로 ‘클릭 화학’이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만들어진 물질을 신약과 같은 형태로 바로 생명체에 사용하긴 어렵다. 독성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는 탓이다. 버토지 교수는 클릭 화학을 생명체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고안해 냈다. 살아있는 유기체 안에서 클릭 반응이 작동하는 방법을 알아낸 것이다.


이 세 연구자의 개념이 통합된 ‘생체직교 클릭 화학’은 신약을 개발하고 DNA 단위에서 새로운 치료방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화학상에 이어 6일 문학상, 7일 평화상, 10일 경제학상 수상자를 차례로 공개한다. 상금은 1000만 스웨덴크로나(약 13억원)로 수상자들이 각각 3분의1씩 나눠갖는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