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北도발에 "7차핵실험 가능성 높이는 시나리오로 판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실은 5일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 등 잇단 도발과 관련해 "제7차 핵실험으로의 가능성을 높여가기 위한 단계별 시나리오를 밟아가는 게 아닌가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자 한반도, 나아가 국제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대통령실은 5일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 등 잇단 도발과 관련해 "제7차 핵실험으로의 가능성을 높여가기 위한 단계별 시나리오를 밟아가는 게 아닌가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일련의 상황으로 볼 때 북한 미사일 사거리가 계속 증가하고 미사일 관련 플랫폼이 달라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한미는 외교장관과 안보실장을 포함한 모든 레벨에서 실시간으로 긴밀히 소통하며 공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자 한반도, 나아가 국제사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정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한미, 한미일 공조를 더 강화하고 북한의 무모한 도발에는 반드시 대가가 따른다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일 대응 수단에 전술핵이 포함되는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확장억제는 북한의 핵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모든 패키지를 총체적으로 망라한다는 입장을 윤 대통령이 견지하고 있다"며 "한미는 확장억제의 획기적 변화 방안을 긴밀하게 협의·강구하고 있다"고 재차 피력했다.
'북 미사일과 관련해 미일 정상 간 통화가 이뤄졌는데 한미도 통화를 조율 중이냐'는 질문에는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그 이전에도 늘 한미 양국 NSC(국가안전보장회의)간 긴밀한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미 동맹은 레토릭에 그치지 않는 행동하는 동맹"이라며 "실질적인 액션을 수반하는 그런 동맹 차원의 군사협력과 한미일 안보협력이 지속적으로 북한의 긴장 고조 움직임과 함께 이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목줄 풀고 미친 듯이 뛰어 내려왔다"…산불 속 남겨진 반려견들 - 아시아경제
- "껌에도 수 천개 미세플라스틱…차라리 오래 씹어라" - 아시아경제
- "청소에 방해된다"…생쌀에 살충제 섞어 비둘기 11마리 죽인 50대 - 아시아경제
- 김수현, 대만 팬미팅 결국 취소…"일정 조정으로 불참" - 아시아경제
- "계좌이체 하지 마세요"…안성재 주의보 발령 나온 까닭이 - 아시아경제
- "왜 이럴까"…수족관서 '70만원 유모차' 빌려줬더니 들고 사라져 - 아시아경제
- "봄 왔으니 달려보자" 매출 38배 '껑충'…불티나게 팔리는 '이 운동화' - 아시아경제
- '왜 해외여행만 비싼 돈 주고 가나'…'1인당 1280만원' 초호화 전국일주 등장 - 아시아경제
- "17세 소녀가 50세 남성 대리모로 쌍둥이 출산"…발칵 뒤집힌 곳이 - 아시아경제
- "갈 때마다 품절이던 다이소 대박템, 이렇게 샀어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