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안부 장관 "김순호 경찰국장 유임..밀정 증거 없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행안부) 장관이 '밀정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순호 경찰국장을 인사조치하지 않고 유임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의 행안부 국정감사에서 이 장관은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를 통해 "여러 의견을 들었다. 인사조치를 해야 할 특별한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공병선 기자] 이상민 행정안전부(행안부) 장관이 '밀정 의혹'을 받고 있는 김순호 경찰국장을 인사조치하지 않고 유임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행안위)의 행안부 국정감사에서 이 장관은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를 통해 "여러 의견을 들었다. 인사조치를 해야 할 특별한 사유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지난 8월29일 이 장관은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김 국장을 교체해야 한다는 일부 야당 의원들의 요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날 김 국장의 교체 의사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 셈이다.
이 장관은 "김 국장을 유임하기로 생각한 것은 3가지 이유가 있다"며 "이른바 밀정이나 배신에 대한 추측만 있을 뿐, 뚜렷한 증거가 없다는 점, 지난 30년 동안 인천부천민주노동자회(인노회)가 이적단체라는 판단이 있었다는 점, 김 국장이 30년 동안 경찰에서 성실히 일하며 지난 정부서 '경찰의 별'인 경무관으로 승진했다는 점 등이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안타깝고 개탄스럽다. 밀정 의혹이 있는 김 국장을 그대로 두는 것은 국민 정서에 반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김 국장은 1989년 노동운동단체 인노위 동료들을 밀고하고 그 대가로 경찰의 대공요원으로 특별 채용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인노회 피해자들은 김 국장이 국군보안사령부(현 군사안보지원사령부)의 녹화사업(사상전향 공작) 대상자로서 끄나풀 노릇을 하며 대학 서클 동향을 적극적으로 보고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기업까지 덮쳤다… 한국 산업계 흔드는 '집게 손모양' 논란 - 아시아경제
- 성장전망 낮추고, 물가전망 높인 한은…내년 더 힘들다(종합) - 아시아경제
- 카페 알바의 고백 "케이크에 들어가는 과일, 안 씻어요" - 아시아경제
- “내가 아빠야” 트로트 가수 오유진 스토킹한 60대 재판행 - 아시아경제
- 日 '부동산 큰 손' 해외투자자, 금리 인상 조짐에 시장서 발뺀다 - 아시아경제
- '4조 손실 전망' 홍콩ELS, "고령층에 판매 적합했나" 법으로 따진다 - 아시아경제
- "18개월에 글 줄줄 읽더라"…최연소 멘사 회원 된 美2세 여아 - 아시아경제
- "해야 할 일을 했을 뿐"…강추위 속 쓰러진 사람 구해내는 훈훈한 '시민 영웅들' - 아시아경제
- [르포]교촌치킨 왜 작아? 배달시간 왜 느려?...‘교촌1991스쿨’ 직접 가보니 - 아시아경제
- "시간관리는 학생 스스로" 日서 '수업 종' 사라진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