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가격 인상 도미노..상반기 이어 하반기도 줄줄이 오름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식품업계에서 도미노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지난 1일부터 과자 제품 6종 가격을 평균 13.3% 인상했다.
삼양식품도 같은 날 원부자재 가격 인상을 이유로 사또밥과 짱구, 뽀빠이 등 과자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3% 올렸고, 팔도도 이날부터 12개 라면 브랜드의 가격을 평균 9.8% 인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육류·유제품 등 상승세 지속 전망
[아시아경제 송승윤 기자] 올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식품업계에서 도미노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지난 1일부터 과자 제품 6종 가격을 평균 13.3% 인상했다. 인상 이후 꽃게랑과 야채타임, 쟈키쟈키, 스모키 베이컨칩 등 과자 제품은 편의점 판매가 기준 1500원에서 1700원이 된다. 순차적으로 다른 유통채널에서도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다.
삼양식품도 같은 날 원부자재 가격 인상을 이유로 사또밥과 짱구, 뽀빠이 등 과자 제품의 가격을 평균 15.3% 올렸고, 팔도도 이날부터 12개 라면 브랜드의 가격을 평균 9.8% 인상했다. 김치 업계에선 국내 포장김치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대상이 종가집 김치 가격을 평균 9.8% 올렸다.
앞서 오리온은 지난달 15일부터 전체 60개 생산제품 중 파이와 스낵, 비스킷 등 16개 제품 가격을 평균 15.8% 인상한 바 있다. 주요 제품별로는 초코파이가 12.4% 오르고 포카칩과 꼬북칩, 예감이 각각 12.3%, 11.7%, 25% 올랐다. 농심도 스낵 제품 23개 출고가를 평균 5.7% 올렸었다. 오뚜기는 이달 10일부터 라면 가격을 평균 11.0% 올릴 예정이다.
코로나19 장기화를 비롯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국제 곡물 가격 상승과 원 달러 환율 급등 등으로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상황이라 하반기에도 가격 인상 행렬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사료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육류와 육가공품 역시 상승할 수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3분기 식용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192.7로 2분기보다 18.1% 상승하고 사료용은 191.1로 20.4% 비싸질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조만간 원유(原乳) 가격 인상도 예정돼있어 우유를 비롯한 생크림 등 유제품과 아이스크림 가격이 오르는 등 '밀크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송승윤 기자 kaav@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안 먹어요 석열씨"…尹 체포에 '구치소 선배' 조국 밈 등장 - 아시아경제
- "저 중국인 아닙니다"…한국 올 때 '이 스티커' 꼭 붙인다는 대만인들 - 아시아경제
- 직원들에 나눠준 복권 12억 당첨되자 "가져와, 다 같이 나누자" - 아시아경제
- "내 노래가 이렇게 개사되다니"…尹 헌정곡 합창에 원곡자도 '당혹' - 아시아경제
- "아침밥 안 해주는 여자 바람 필 듯"…기안84 발언에 때아닌 설전 - 아시아경제
- "홍상수·김민희 커플 임신…올 봄 출산 예정" - 아시아경제
- "아이 치아 부러졌으니 부모가 3000만원 줘야"…재판부 판단은? - 아시아경제
- "아이만 탔다면 옆좌석 남자 안돼"…이유 물으니 "성범죄 98% 남자여서" - 아시아경제
- "뭔죄가 있다고 잡혀가나"…배우 최준용 부부, 尹 체포에 오열 - 아시아경제
- "안내견은 위험해서 안됩니다" 다이소 매장에서 시각장애인 앵커가 당한 차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