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부자감세 결국 철회..'제2의 대처' 리더십 흔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리즈 트러스 신임 내각이 세계 금융시장 혼란을 초래한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한지 열흘 만에 소득세 최고세율 폐지 계획을 철회했다.
쿼지 콰텡 영국 재무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소득세) 45% 세율 폐지안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며 "(현 상황을) 이해했고 경청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득세 최고세율 감세안 철회 발표
영국 리즈 트러스 신임 내각이 세계 금융시장 혼란을 초래한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한지 열흘 만에 소득세 최고세율 폐지 계획을 철회했다.
쿼지 콰텡 영국 재무부 장관은 3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소득세) 45% 세율 폐지안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며 “(현 상황을) 이해했고 경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 지원과 저소득층 세부담 감면 등 우리의 성장 계획은 더 번영하는 경제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었다”면서도 “45% 세율 폐지안으로 인해 영국이 직면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우리의 임무가 산만해졌다”고 언급했다.
영국 재무부는 지난달 450억파운드(약 70조원) 규모의 대대적인 감세 정책을 발표했다.
특히 고소득층에 적용되던 소득세율 45% 폐지안이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해당 구간은 인구의 1% 가량인 50만명에게만 해당되는데 세입 규모는 60억파운드(약 9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감세 정책 추진 여파로 국가채무 증가 우려가 커졌고 파운드화 가치가 한때 사상 최저치로 떨어지는 등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상황에서 영국의 대규모 감세안은 글로벌 경제 상황에 역행하는 것이며 인플레이션 심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리즈 트러스 총리는 제2의 ‘마거릿 대처’를 표방하면서 취임했지만 야심차게 발표한 부자감세 철회의 후폭풍으로 취임 3주 만에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됐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같은 사람?’ 전주환 얼굴, 신상공개 사진과 다른 이유
- 아파트 현관문에 ‘개보기’ 빨간 낙서…CCTV 찍힌 범인
- 인천대교 차 세우고 사라진 30대…바다서 숨진채 발견
- ‘13대 쾅쾅쾅’ 전기택시 연쇄추돌…기사 “급발진” 주장
- 냉탕 온탕 오가다 가슴 통증…사우나서 60대女 심정지
- 尹, 국군의날 ‘열중 쉬어’ 생략…野 “면제라 이해해야?” [영상]
- ‘미성년 11명 성폭행’ 김근식 이달 출소…“무조건 재범” 우려
- ‘러 귀화’ 빅토르안, 푸틴 동원령 속 한국서 반신욕 여유
- “변종독재” “못난이” 민주당, 해임거부 尹 겨냥 ‘맹공’
- “인삼인줄 알고”…‘이 뿌리’ 나눠먹은 9명 집단 식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