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단지는 그래도 오른다..반포주공1단지 73억원 매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리 인상, 대출 규제와 무관하게 '현금 부자'만 살 수 있는 한강변 고가주택은 계속해서 신고가를 찍고 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한강변 고가단지 신고가 찍는 건 결국 희소성에서 나오는 차별성이라고 봐야 한다"며 "'반포주공'이나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재건축 중에서도 좋은 단지고 '청담자이'의 경우 신축 중에서 대체 불가능한 지역이다 보니 희소성이라는 가치가 가격에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격 하락세에도 한강변 단지 상승 예상
재건축 단지라는 특징도 크게 작용한 듯
자치구 불문 한강 변 단지는 신고가 여전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금리 인상, 대출 규제와 무관하게 ‘현금 부자’만 살 수 있는 한강변 고가주택은 계속해서 신고가를 찍고 있다. 지난달에만 두 건이 팔린 반포주공1단지는 모두 70억원 이상에 팔렸다.
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6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140.13㎡)가 73억원에 매매됐다. 같은 달 3일에도 71억5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찍었는데 여기서 또 1억5000만원 오른 값이다. 직전 신고가는 5월 거래된 69억원이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과 무관한 ‘현금 부자’들은 하락세임에도 한강변 단지의 상승 가능성을 보고 신고가 매수를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투기과열지구인 서울은 15억원 초과 아파트에는 LTV(주택담보인정비율)가 적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70억원이 넘는 이 단지를 매수하기 위해선 많은 현금이 필요하다.
게다가 ‘반포주공1단지’는 재건축 단지라는 특징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73년 지어진 이 단지는 현재 이주를 완료하고 철거를 앞두고 있다. 2017년 사업시행인가 이후 3년 이상 착공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3년 이상 소유자 매물은 착공 전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가 가능하다. 이번 정부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합리화 방안으로 조합이 져야 할 부담까지 덜면서 가격이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굳건히 상승세를 지키던 서초구 역시 8월 들어 매매가격지수가 떨어졌지만 이처럼 한강변 주변 아파트는 여전히 굳건한 모습이다. 이달 매매된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205.07㎡)’ 역시 38억원에 매매돼 직전 거래인 지난해 10월 35억원 대비 3억원 오른 값에 실거래됐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매매가격지수는 8월 셋째 주(106.2) 처음으로 전주 대비 하락(-0.01%)하더니 7주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매매가격지수는 105.9로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다른 자치구에서도 한강변 고가 단지의 위세는 여전하다.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89.115㎡)는 직전 거래(지난해 10월)보다 3억4000만원 오른 36억5000만원에 지난달 팔리며 신고가 찍었다. 직전 신고가는 지난해 2월 35억원보다도 1억5000만원 올랐다. 2년 만에 처음 거래된 성동구 성수동1가 '강변동양(84.56㎡)' 역시 지난달 25억원에 팔리면서 신고가를 찍었다. 직전 거래(2020년 5월·18억원)보다 7억원 높은 가격이다. 청담동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이 주변은 매물이 많이 나오지 않는 데다 급하게 매도에 나서는 분들이 없어 이전보다는 조금씩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한강변 고가단지 신고가 찍는 건 결국 희소성에서 나오는 차별성이라고 봐야 한다"며 "'반포주공'이나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재건축 중에서도 좋은 단지고 '청담자이'의 경우 신축 중에서 대체 불가능한 지역이다 보니 희소성이라는 가치가 가격에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몸이 먼저 반응했어요" 비번날 사람 넷 살린 女소방관 - 아시아경제
- 흑사병 창궐 보다 심한 韓 저출산…한은 "30년내 해결 못하면 역성장"(종합) - 아시아경제
- '9999' 폰 희귀번호 48억에 낙찰 받았다가 후회 막심 中남성 - 아시아경제
- 잠든 父 얼굴로 폰 잠금해제해 1000만원 아이템 구매…간편결제 사고 증가 - 아시아경제
- 63빌딩도 물 잠긴다…"지구온난화 8억명 수몰 위기" - 아시아경제
- 샤워실의 바보?…물가와 경기 사이 복잡해진 각국 중앙銀 - 아시아경제
- 부장님, 딱 1시간에 오마카세로…그러면 회식 갈게요 - 아시아경제
- 아이폰서 흰 연기 뿜어져 나와…고교생들 교실서 긴급대피 - 아시아경제
- 신림동 고시촌은 이제 '생활촌'…강남 출퇴근 직장인 모여들어 - 아시아경제
- 경찰 "전청조 사기 피해자 32명, 피해액 37억원…남현희 추가 조사"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