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중 폭발한 배터리.."잠자다 화상, 아기도 유독가스"

권남영 2022. 10. 1.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밤중에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가 충전 중 폭발해 잠을 자고 있던 부부가 심한 화상을 입었다.

배터리 화재로 A씨는 엉덩이와 다리에 2도 화상을 입었다.

해당 배터리 판매 업체 D사는 사고 발생 1주일이 지나도록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A씨는 토로했다.

A씨는 지난 28일까지 배터리가 왜 폭발했는지, 폭발 우려가 예고됐음에도 왜 판매했는지, 피해 보상은 어떻게 해줄 것인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답변도 듣지 못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1일 경기도 이천시의 한 가정집에서 폭발한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 연합뉴스


한밤중에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가 충전 중 폭발해 잠을 자고 있던 부부가 심한 화상을 입었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도 이천시에 사는 30대 가장 A씨는 지난달 21일 새벽 3시30분쯤 잠을 자다가 갑자기 ‘퍽’하는 소리에 일어났다. 주위를 살폈더니 거실 안에서 불길이 치솟고 있었다. 보조 배터리에서 불이 나 순식간에 소파를 태우고 거실벽을 따라 위로 타올랐던 것이다. A씨는 119에 신고할 겨를도 없이 베개를 이용해 불을 껐고 수 분만에 진화했다.

배터리 화재로 A씨는 엉덩이와 다리에 2도 화상을 입었다. 배터리 가까이에서 잠을 자던 그의 아내는 사고 직후 양쪽 손가락과 손등, 손목 등에 2도 화상 진단을 받았다. 부부 중간에서 잠을 자던 80일 조금 지난 신생아도 배터리 화재로 발생한 유독가스를 흡입했다.

맞벌이하는 A씨 부부는 수원시의 화재 전문 병원으로 치료하러 다니느라 일도 못 하고 있으며 그의 아내는 아기도 보지 못할 정도로 손의 화상이 심한 상태라고 한다.

A씨가 사고 직후 촬영한 사진을 보면 넓적한 모양의 배터리는 풍선처럼 부풀어 올라있다. 배터리 내부 부품들은 터져 나와 흩어지며 완전히 녹아버렸다. 배터리가 놓여있던 소파는 심하게 불탔으며, 벽에는 검은 그을음이 생겼다. 공기청정기와 휴대전화 등 다른 집기들도 훼손돼 상당한 물적 피해를 입었다.

배터리 폭발로 양손에 심한 화상을 입고 붕대를 감아놓은 모습. 연합뉴스


해당 배터리 판매 업체 D사는 사고 발생 1주일이 지나도록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A씨는 토로했다. D사는 처음 고객센터를 통해 A씨를 응대했으나 이후 전화 연결이 잘 되지 않았고 사고처리도 보험사에 맡겨뒀다는 것이다. A씨는 지난 28일까지 배터리가 왜 폭발했는지, 폭발 우려가 예고됐음에도 왜 판매했는지, 피해 보상은 어떻게 해줄 것인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답변도 듣지 못했다.

문제의 배터리는 중국의 제조업자 개발 생산(ODM) 제품을 D사가 국내로 들여와 국가통합인증마크(KC) 안전 인증을 받아 판매한 것이었다. D사는 지난 7월에도 유사한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원인 분석을 진행했다. 발열, 부풀어 오름 등의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A씨는 “제품의 위험성을 알고도 판매했다. 더욱이 KC 인증까지 받은 제품이 폭발했다면 소비자는 누굴 믿으란 말인가”라며 “D사는 부도덕하고 제품은 불량하므로 퇴출돼야 한다. 손해배상을 원하지 않으며 나 같은 피해자가 더 안 생기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D사를 한국제품안전관리원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제품안전관리원은 KC 인증 제품에 대해 사고 조사 후 제품 수거 명령과 과태료 부과, 형사고발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D사는 “KC 인증 기준에 맞춰 제조했으며 배터리 안의 과열 차단 부품의 불량 가능성이 있다”며 “본의 아닌 사고로 고객과 고객님 가족분들에게 피해를 드린 부분 위로와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매체에 말했다.

인증기관 관계자는 “KC 인증을 받은 배터리가 폭발했다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제조업체가 인증받을 때 기준과 다르게 제품을 제조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제품안전관리원을 통해 정확한 사고 원인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전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