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상실과 치매.. 관계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음식을 잘 씹지 못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의 저자 차재국 교수는 "나이가 들면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저작능력의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이번 연구 결과를 봤을 때 저작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음식물을 씹는 저작능력이 떨어지면 뇌의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다.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아 영양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지 않기 때문이다. 잇몸 등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썩어 만성 치주염 등을 일으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학계에선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어떻게 분석할까.
연세대 치주과학교실 차재국‧박진영‧고경아 교수 연구팀은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4~2020년, 연세대 치과대학병원에서 진료 받은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 488명(치매군 122명, 대조군 366명)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조사 대상 488명은 2005년부터 2010년 사이 처음 내원했다가 다시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초진 당시에 치매를 앓던 환자는 없었다.
연구팀은 두 시험군의 저작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소실 치아 개수와 치아 복구조치 비율 등을 조사했다. 그랬더니 치매군에서 감소한 평균 치아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더 많았다.
발치 뒤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에서 높았다. 치매군에서의 소실 치아 방치 비율은 56.48%였으나 대조군에서는 42.6%였다.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치아를 잃으면 임플란트·보철 치료로 빈 곳을 메워 저작능력을 보존한 경우가 77.48%로 치매군(66.56%)보다 더 높았다.
연구의 저자 차재국 교수는 “나이가 들면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저작능력의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이번 연구 결과를 봤을 때 저작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간하는 종합의학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에 최근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대로 양치 안 하면 '치매' 위험 커진다?
- 치매, 치아 빠질수록 더 위험해… 해결 방법은?
- “中 의약품 의존도 낮추는 美… 韓 기업 수혜 기대”
- [아미랑]“빨리 나아서 무용하고 싶단 생각뿐…” 백혈병 극복한 소녀의 이야기
- ‘AI 챗봇’과 대화하면 외로움·불안 완화에 실제 효과있다
- 몸무게 많이 나가도 ‘이것’ 강하면 오래 산다
- 50세 미만 여성, 같은 연령 남성보다 ‘이 병’ 위험 82% 높다
- '통조림' 명절 선물, 건강 생각한다면 스팸보단 '이것'
- "한쪽 다리 파래지더니 결국…" 응급실 실려온 60대 여성, 왜 이런 증상이?
- “부작용으로 우울증 겪었지만, 또 수술 계획”… 성형에 8800만원 쓴 여성,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