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65세 고령인구 900만명 첫 돌파..3년 뒤 '초고령사회' 진입

홍주연 2022. 9. 30. 16: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경DB)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처음으로 90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7.5%에 해당한다. 3년 뒤에는 이 비중이 20%를 돌파해 한국도 초고령사회(고령자 비율 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고령자 가구 중 3분의 1 이상은 '1인 가구'에 해당한다.

통계청은 2025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6%를 기록,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2035년에는 30.1%,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에 도달한 연수는 7년으로 오스트리아 53년, 영국 50년, 미국 15년, 일본 10년에 비해 매우 빠른 속도다.

지역별로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전남(24.5%), 경북(22.8%), 전북(22.4%), 강원(22.1%), 부산(21%) 순이다.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9.9%)이었다. 2028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우리나라 모든 지역이 초고령사회가 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올해 24.6명이며, 2035년에는 48.6명, 2050년에는 78.6명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자식이 부양해주길 기대하는 고령자들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가족이 부모를 부양해야 한다는 견해는 38.3%에서 27.3%로 감소했다. 대신 가족과 정부, 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7.8%에서 49.9%로 높아졌다.

본인·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고령자 비중은 65%로, 3명 중 2명이 스스로 생활비를 조달한다. 나아가 65~79세 고령자 54.7%가 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취업을 원하는 사유는 생활비에 보탠다는 응답이 53.3%로 가장 많았다.

2021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4억1048만원으로 전년 대비 6094만원 증가했다. 부동산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0.9%로 가장 높았고, 저축은 13.8%로 타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소득 분배지표는 2016년 이후 개선되고 있다. 그럼에도 빈곤율은 여전히 높다. 2019년 기준 66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홍주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