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K] 기후 습격 시작됐는데 ‘예산은 역주행’
[앵커]
보신 것처럼 재난에 맞닥뜨릴 가능성은 계속 커지는데 재난을 막을 준비는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습니다.
관련 예산이 상당 부분 깎였는데 어떤 문제가 있는지 김세현 기상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태풍 '힌남노'는 동중국해 부근부터 초강력급에서 '매우 강' 급의 세력을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우리 기상청은 힌남노가 제주도 부근까지 올라오기 전까지는 정확한 관측이 어렵습니다.
먼바다에는 직접 관측 장비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광연/기상청 예보분석관/지난 6일 : "관측망이 점점 조밀해져 오는 제주도 부근 해역을 지나서 북상해 오고서부터는 체계적인 관측결과들을 바탕으로 분석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해상 관측은 태풍의 강도와 진로를 정확히 예측해 피해를 막는 데에 핵심적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해상 관측장비는 225개로 육상의 3분의 1에 불과합니다.
그나마 대부분 근해에 집중 배치돼 있고, 제주를 기준으로 175km 이상 먼 바다엔 한 곳도 없습니다.
[문일주/태풍연구센터 센터장 : "미국과 일본은 자국으로 향하는 태풍에 대해 항공기를 태풍 눈 속까지 보내서 관측하고 있습니다."]
인력도 문제입니다.
우리나라 태풍 전문 예보관의 경우 모두 4명에 불과하고, 태풍이 가까이 올 땐 2인 1조로 12시간씩 교대 근무를 합니다.
질 높은 예보를 위해선 턱없이 부족한 인력입니다.
그런데도 내년 정부 예산은 오히려 줄었습니다.
기상청 태풍 관련 예산은 한해 전보다 25억 천9백만 원 삭감, 기후 변화 관련 예산도 20억 원 가까이 삭감됐습니다.
대부분은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나 운영 사업들입니다.
[우원식/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정말 심각한 기후 위기, 그리고 태풍의 위협을 우리 국민들이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예산 반영을 통해서 철저히 준비해야 된다 이렇게 생각하고…."]
점점 속도를 내고 있는 기후위기와 더 심각해지는 재난, 복구 예산보다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비에 투자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세현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김민준/영상편집:김형기/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김세현 기자 (weather@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설 연휴 ‘최강 한파’ 온다…설날 전국 대부분 눈·비
- 비닐로 번호판 가린 뒤 ‘방화’…친부 살해 혐의 구속
- 한-이란, 대사 맞초치…외교부 “尹 발언, 국제 관계와 무관”
- 한류·남한식 말투에 위기감?…“평양문화어보호법 제정”
- 복잡한 설 차례상?…“음식 9개면 충분합니다”
- [기후K] 최초공개! ‘습지 소멸 지도’…2100년 ‘10개 중 8개’ 소멸
- 대통령 연하장에 실린 ‘할머니 글씨체’
- 태풍에 꺼졌던 용광로 재가동…135일 만에 포항제철 작업 재개
- ‘성폭행 추락사’ 인하대 남학생에 징역 20년
- 해외여행길 열려도…겨울 전지훈련 ‘제주로, 제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