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다이어리]현지서 본 윤대통령 방미 논란

뉴욕=조슬기나 2022. 9. 25.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 유엔총회 기간 나온 대통령의 비속어를 두고 며칠째 시끌시끌하다.

현지에도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동맹국을 폄하했다는 기사가 일제히 보도되면서 대통령이 언급한 '쪽팔려서 어떡하냐'의 대상은 한국 그 자체가 된 모양새다.

국적과 직업을 밝힌 이후로 마주칠 때면 늘 그날의 주요 뉴스들을 언급하곤 하던 도어맨이 내게 "유엔에 가느냐. 바쁘겠다. 근데 한국 대통령은 왜 그런 말을 한 거냐"고 물었을 때는 당혹스러움을 숨기지 못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욕다이어리_뉴욕에서 미국 일상 속 이야기들을 전합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조슬기나 특파원]미국 뉴욕 유엔총회 기간 나온 대통령의 비속어를 두고 며칠째 시끌시끌하다. 현지에도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이 동맹국을 폄하했다는 기사가 일제히 보도되면서 대통령이 언급한 '쪽팔려서 어떡하냐'의 대상은 한국 그 자체가 된 모양새다.

국적과 직업을 밝힌 이후로 마주칠 때면 늘 그날의 주요 뉴스들을 언급하곤 하던 도어맨이 내게 "유엔에 가느냐. 바쁘겠다. 근데 한국 대통령은 왜 그런 말을 한 거냐"고 물었을 때는 당혹스러움을 숨기지 못했다. 그가 "우리(미국인들)도 욕한다"고 즉시 덧붙였음에도 말이다.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 장례식에 이어 9월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는 여러모로 중요한 외교적 타이밍에 있었다. 취임 초기, 전 세계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다자외교의 장이 펼쳐진다는 것만으로도 윤 대통령은 운이 좋았다고 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 메시지를 각인시키고 주요국과 관계를 다질 수 있는 절호의 기회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국산 전기차를 지원 대상에서 배제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강달러 속 한미 통화 스와프 협의 등 톱다운식 협의가 필요한, 이른바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현안들도 다수였다.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장례식 조문 취소 건은 국가원수의 참석 성의를 표했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다고 차치하더라도, 이곳 뉴욕에서 펼쳐진 48초 환담, 이어진 비속어와 폄하 발언 논란은 이래저래 참담하다.

전 국민적 청력 테스트가 된 해당 발언을 수십차례 다시 들었다. '바이든이'인지, '날리면'인지.

"국회에서 이 ××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는 발언이 대통령실의 해명대로 “국회에서 이 ××들이 승인 안 해 주고 '날리면' 쪽팔려서 어떻게 하나”라고 한다면, 이는 문제가 없는 발언인가? '이 ××'가 미국 의회가 아닌, 우리 국회를 향한 것이라면 민주주의 국가 대통령의 발언으로서 적절한가?

이번 논란을 두고 대화를 나눈 미국인들은 나름의 위로(??)처럼 바이든 대통령의 말실수 사례를 꺼내 들곤 했다. 잘 알려진 대로 바이든 대통령은 걸쭉한 입담에 '실언 제조기(gaffe machine)'라는 별명까지 붙어 있는 인물이다. 지난 1월 폭스뉴스의 백악관 출입기자를 두고 마이크가 켜진 줄 모른 채 '멍청한 XX'라고 내뱉었고, 미러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CNN 기자에게는 "빌어먹을"이라며 공개적으로 화를 냈다. 하지만 두 차례 모두 바이든 대통령은 '직후' 곧바로 사과에 나섰음을 강조하고 싶다.

누구나 말실수는 할 수 있다. 중요한 건 다음이다. 윤 대통령은 직접 해명하고 이번 사태로 '쪽팔리게 된' 국민, 그리고 대통령실의 해명에 따라 '이 ××들'이 된 국회에 사과해야 옳다. 숙고하지 않은 발언, 정제되지 못한 메시지를 버리고 '대통령의 언어'가 갖는 무게감을 뼈저리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대통령의 언어가 가벼워서야 결코 리더십이 설 수가 없다.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