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당뇨 환자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2022. 9. 21.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가 당뇨병 전단계뿐 아니라, 약물을 복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도 개선한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과 안철우 교수팀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가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 지수(HOMA-IR)와 인슐린 감수성 인자(QUICKI)를 개선하고 인슐린과 C-펩타이드 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사진./퓨젠바이오 제공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가 당뇨병 전단계뿐 아니라, 약물을 복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도 개선한다는 임상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과 안철우 교수팀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가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 지수(HOMA-IR)와 인슐린 감수성 인자(QUICKI)를 개선하고 인슐린과 C-펩타이드 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했다. 인슐린 저항성은 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중요한 선행 요인이자 강력한 예측 인자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췌장에서 인슐린이 아무리 많이 나와도 인슐린 기능이 몸에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혈당이 근육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혈액 속에 남게 된다. 즉,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혈당 수치가 올라가고 정상 수준을 넘어간 것이 2형 당뇨병이다.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되면 인슐린의 효율이 떨어져 췌장에서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한다. 이는 췌장 베타세포가 과로해 산화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사멸하는 악순환을 유발한다.

이번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현재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QUICKI 모두에서 유효성이 확인된 것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당뇨병 전단계뿐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 관리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인슐린이 과잉 분비돼 혈중 인슐린 농도가 높아지면 미세 염증으로 인한 심혈관질환을 유발하고 췌장에 과부하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복용한 피험자군에서 공복과 식후 상태 모두 혈중 인슐린 농도가 감소됨을 확인했으며 혈중 인슐린의 또 다른 마커인 혈중 C-펩타이드 농도 또한 감소했다. 이는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이 대부분 혈관 염증으로 인해 유발됨을 감안할 때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당뇨병의 합병증을 관리하는 것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퓨젠바이오 김윤수 대표는 “이번 임상은 실제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처음으로 규명한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당뇨병 연구 저널'에 개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