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尹 조문 홀대·지각 등 논란에.."성당 장례가 진짜 국장"

손희정 2022. 9. 20. 19: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조문 취소' 논란에 "외교라는 대외적 문제에 여야가 따로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진 외교부 장관 대신 출석한 조현동 1차관은 "이번 행사는 조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 참배 서명과 국장인 장례 미사 참석이 있었는데 물론 둘 다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며 "다만 처음부터 영국 왕실과 긴밀하게 협조했고, 다 협의해서 이뤄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런던의 한 호텔을 나서고 있다. 연합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조문 취소’ 논란에 “외교라는 대외적 문제에 여야가 따로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20일 한 총리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하면서 “여야가 한마음으로 해 주면 그만큼 대한민국이 강한 추진력으로 외교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늦게 도착하는 분들(각국 정상들)에 대해서는 런던의 사정을 감안해 왕실에서 다음 날 참배를 하도록 한 것으로 안다”며 "정식 국장 행사는 아니고, 아마 방명록을 쓸 수 있도록 어레인지(조정)를 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이어 “성당에서 하는 그런 장례가 진짜 장례이고, 국장(國葬)이라고 봐야 한다. (윤 대통령은) 그곳에 외국 정상들과 같이 참석했다”고 부연했다.

한 총리는 또 “이번 영국 여왕의 장례는 조문과 미사가 있었는데 성당에서 열린 미사는 해외에서 온 500명에 가까운 정상들이 같이 모여서 치른 것”이라며 “때문에 장례식 미사가 아마 제일 공식적인 행사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조금 늦게 런던에 도착한 EU(유럽연합) 집행위원장, 파키스탄 총리, 모나코 국왕, 그리스 대통령, 오스트리아 대통령, 이집트 총리 등도 다 같이 장례식 후에 조문록을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야권 일각에서 ‘외교 참사’라고 비판하는 데 대해서는 “장례 미사가 끝난 다음 조문록을 작성한 것은 영국 측과의 협의를 통해 이뤄졌기 때문에 참사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윤석열 대통령의 조문 취소 논란을 고리로 여권에 맹공을 퍼부었다.

민주당 김성환 정책위의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조문 외교를 하겠다며 영국에 간 윤 대통령이 교통통제를 이유로 조문을 못하고 장례식장만 참석했다”며 “교통통제를 몰랐다면 무능하고, 알았는데 대책을 세운 것이라면 더 큰 외교 실패, 외교 참사”라고 말했다.

최고위원인 서영교 의원도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영국 측의) 홀대라면 홀대가 되지 않도록 했어야 되는 것이고, 우리 쪽 실수였다면 큰 문제”라며 교통 통제를 감안하지 못했던 우리 쪽의 의전 문제도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논란의 진상을 낱낱이 규명할 것을 밝혔다. 김영배 의원은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나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대통령의) 일정, 의전과 관련한 문제”라며 “외교부에서 답변을 주지 않아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지만 향후에 확인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외교부에서는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박진 외교부 장관 대신 출석한 조현동 1차관은 “이번 행사는 조문이라고 말할 수 있는 참배 서명과 국장인 장례 미사 참석이 있었는데 물론 둘 다 하는 것이 바람직했다"며 "다만 처음부터 영국 왕실과 긴밀하게 협조했고, 다 협의해서 이뤄진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조 차관은 “워낙 많은 정상이 같은 시간대에 도착했기 때문에 도착 슬롯(착륙 배정 시각)까지도 처음부터 영국 측과 긴밀히 협의했다"며 “영국 측도 대통령 일행에 대해 충분히 의전을 갖춰 대우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조문 취소 논란에 대해 “여러 가지 좀 과도한 추측들이 있었지 않았나 싶다”라고 덧붙였다.

손희정 기자 sonhj1220@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