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아이] 질문과 우려

신경진 2022. 9. 20. 00: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경진 베이징총국장

“귀하의 질문과 우려를 이해한다.”

지난 1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바프로스이(질문)’와 ‘오자보첸나스띠(우려)’를 언급했다. 우크라이나 침공 후 첫 만남에서다. 크렘린 궁이 발언을 공개했다. 푸틴은 “우크라이나 위기와 관련해 중국의 균형 잡힌 입장을 높이 평가한다”며 질문과 우려를 자세히 설명하겠다고도 했다.

미국은 중국의 ‘우려’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봤다. 16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전 세계의 우려를 반영했다”며 “인류 전체의 이익에 대한 침략”이라고 했다. 또 ‘우려’가 침략을 끝내도록 압박한다며 시진핑·푸틴의 균열을 파고들었다.

과연 그럴까. 지난 9일 중국 현 권력서열 3위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대 위원장이 모스크바에서 “러시아는 응당 취해야 할 조처를 했고 중국은 이해했다”고 말했다. 침공에 우려는 없었다. 중국은 이른바 민주집중제를 따른다. 1인자와 3인자의 생각이 다르기 어렵다. 그렇다면 시 주석의 ‘질문과 우려’는 푸틴의 최근 고전을 겨냥한 말 아니었을까.

16일 상하이협력기구 회담 중 굳은 표정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아래 사진은 2월 베이징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밝게 맞이하던 모습. [AP·타스=연합]

설명은 만족스럽지 않아 보였다. 2월 베이징에서 “한계 없는 협력”을 다짐하던 미소가 사라졌다. 푸틴의 표정에는 절박함까지 묻어났다.

중국 내부 정치에 밝은 우궈광(吳國光) 캐나다 빅토리아대 교수는 일찌감치 국가의 이익과 리더의 이익이 다를 수 있음을 간파했다. 저명 저널 차이나리더십모니터(CLM) 여름호에서다. 개인적 야심에 바탕을 둔 중·러 밀착을 지적했다.

러시아의 전쟁과 중국은 거리를 둬야 한다는 주장이 실린 사이트 ‘중미인상(中美印象)’을 류야웨이(劉亞偉) 미국 카터센터 중국프로젝트 주임이 운영한다고 소개했다. 류야웨이의 형은 리셴녠(李先念) 전 국가주석의 사위인 류야저우(劉亞洲) 상장(대장)이다.

최근 차이샤(蔡霞) 전 중앙당교 교수도 류야저우 상장을 언급했다. ‘포린 어페어스’ 최신호 기고문에서다. 류 상장이 2017년경 정부 정책의 수정을 요구하는 편지를 최고 지도부에 보낸 사실을 공개했다. 마오쩌둥 이래 당의 자정(自靜) 메커니즘을 따랐다면서다. 우 교수는 류 상장이 지난해 말 조사를 받았다고 했다. 현재 중국 지도부의 언로가 막혔다는 징후다.

1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질문과 우려’를 사설로 다뤘다. 푸틴이 더 광범한 패배에 직면한다면, 지금까지 그의 계속된 오산을 볼 때 뒤따를 결정 역시 현명하지 않을 것을 경고했다. 러시아만이 아니다. 푸틴 옆 시 주석의 굳은 표정을 보며 중국을 향한 ‘질문과 우려’도 떠올랐다.

신경진 베이징총국장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