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이너서클에 한국은 없다..결국 뒤통수 맞은 대미 외교 [김영준이 고발한다]
미국은 한국 현대사 무대에서 주연 역할을 해왔다. 건국과 발전을 이룬 지난 70여 년 역사의 첫 번째 주역이 우리 국민의 노력과 헌신이라면, 두 번째 주역은 미국의 지원이었다. 현대사 해석을 놓고 진보와 보수가 극명하게 갈리지만 한미 관계의 중요성은 초당적 국민 지지를 얻는다. 보수뿐 아니라 진보 대다수도 미국과 대등하게 문제를 해결하자는 입장이지, 한미상호방위조약 폐기를 주장하지는 않는다.
양국의 관계는 지난 70년간의 대북 군사동맹을 넘어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격상됐다. 대한민국이 외교·안보·군사는 물론 경제·문화·과학 측면에서도 미국에 매우 중요한 동맹국이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럼에도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을 둘러싼 논란을 지켜보며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미국을 대하는 한국 측 전략이 20세기에 머무르고 있는 것 같아서다. 미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FMSO)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몇 가지 대미 공공외교 전략을 제안하려고 한다.
미국 우선주의가 만든 IRA
첫째는 IRA 제대로 이해하기다. 이 법은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수용해 발전시킨, 중산층을 위한 외교·안보 정책이라는 이해를 갖고 큰 틀에서 접근해야 한다. 단기 협상을 통해 당장의 이익을 꾀하는 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미국인은 국제 문제를 바라보는 전략과 접근이 우리와 전혀 다르다. 우드로 윌슨이 구상하고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구현하고자 한 나라는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구축하고 선도하는 국가다. 이런 미국의 눈으로 세계 문제에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미국인은 왕 없는 자유민주주의 공화국을 세워 개인 인권을 중시하는 국가를 성립했다는 자부심이 강하다. 초등학생 때부터 미국이 세계를 악으로부터 구원하고, 자유주의 국제 질서를 지탱해왔다는 메시아적 사명감을 배운다.
악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냉전기에는 소련, 9·11 테러 이후에는 이슬람 근본주의 테러 세력, 현재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전체주의 국가들이다. 미국에게 동맹국이란 이러한 악에 함께 맞서 싸우는 동지이자 전우다. 그리고 미국의 국익을 극대화하는 게 자유주의 국제 질서 속 동맹국의 이익에도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다만 방법론에 있어 미국 진보진영과 민주당은 자기성찰적이고 동맹국을 중시하는 반면, 미국 보수진영과 공화당은 지정학적·경제적 이익을 공개적으로 추구하면서 군사력을 중시한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일자리 창출 등 내부 문제에 집중하자는 과거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n First) 정책도 미국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완급 조절이지, 홉스 식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인 중세나 제국주의로 돌아가자는 건 아니었다.
한미 안보·경제 통 큰 협상 필요
이런 미국의 시각을 이해한다면 IRA 협상 창구에 선 우리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수호해 달라고 호소할 게 아니라 작게는 미국 내 일자리 창출 같은 경제 활성화, 크게는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 어떤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인지 먼저 제안하면서 추후 큰 틀에서 논의해야 한다. 연대를 확인하면서 동맹국으로써 먼저 기여하겠다고 제안하고, 나중에 다른 걸 돌려받아야 한다.
━
워싱턴 이너서클에 없는 한국
필자는 지난 10여 년간 미국 고위 정부 기관 인사들을 다양한 사교모임에서 만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비공개 만찬, 폴 라이언 당시 하원의장 후원 기업가 모임, 캘리포니아 공화당 의원 사교모임 등에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한국 측 인사는 왜 미국 사교계에서 보기가 어렵느냐"였다.
물론 한국 정부도 전보다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주미 한국대사관과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등은 적은 예산으로 고군분투해왔다. 그러나 누군가의 희생을 담보로 한 고군분투로는 더는 안 된다. IRA법이든 뭐든 앞으로의 대미 공공외교는 일본이 하는 것처럼 국가안보전략과 경제·통상전략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이미 집권한 실세에 줄 서는 노력도 물론 필요하다. 하지만 앞으로 집권할 핵심 인사에게 미리미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대통령실에 대미 공공외교 전담 인력을 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사실 중요한 외교·경제·통상 문제는 실무진들이 비공식 채널에서 모든 협의를 마치고, 정부 대표는 서명만 한다. 문제가 터지고 나서야 특사단을 보내고, 어느 정당이 선거에서 이기는지 결과를 본 후 움직이는 식의 후진국형 외교와는 이제 결별해야 한다.
대미 외교를 강조하면 사대주의라고 비판하는 사람들이 있다. 시대착오적이다. 워싱턴은 모든 국가가 국익을 위해 365일 매일 전쟁을 벌이는 전쟁터다. 어느 나라에서나 정치인, 정부 관료, 언론, 기업 등이 국가 의사 결정에 다양하게 참여한다. 다른 나라와 관련된 핵심 협상 안건은 이미 수년 동안 이런 이해 당사자의 생각과 태도가 반영돼 완성된다는 점에서 이런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
대미 외교의 폭을 행정 관료를 넘어 다양한 전문가 그룹으로 확대해 그들을 무대에 올려야 한다. 진보든 보수든 정권과 상관없이 한국 국익을 위해 꼭 임해야 하는 핵심 전략이다. 다시 말하지만 현재 워싱턴 이너서클에 한국은 없다. 방탄소년단(BTS)과 '오징어 게임'을 좋아한다고, 그들이 우리의 핵심 국가 이익을 고려해주는 것은 아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외양간을 제대로 지어야 한다.
김영준 국방대 교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휘재, 가족과 돌연 캐나다행..."비난 여론, 상실감에 괴로워해"
- "나라가 죽였다" 들끓는 민심…한동훈, 신당역 홀로 방문
- 하정우 "10m 걷기도 무서울만큼 살벌했다"…수리남 비하인드
- 매머드급 변호인단 최소 10억…운명의 재판 서는 이재명의 고민
- '일당 125만원' 포스코 승부수…'하루 손실 500억' 고비 넘겼다
- 손 사진 한장만으로 협박 시작…성착취물 사냥꾼 '교묘한 미끼'
- '싱글맘' 김나영, 건물주 됐다…강남 역삼동 99억원에 매입
- "오히려 싼 가격" 감탄…세계서 최고층 집 3497억에 내놨다
- 878억 들여 새 영빈관 짓는다…용산 대통령실 인근에 신축
- [단독]文정부 태양광에 뭉텅뭉텅…나무 265만그루 잘려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