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심' 그게 뭔데?.. 다음 달부터 '1폰 2번호' 가능해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음 달 1일부터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두 개 번호를 쓸 수 있다.
유심(USIM)에는 사용자 정보를 담은 프로필이 1개 들어간다.
휴대전화 단말기 1대에 할당하는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최대 2개라 유심과 e심을 활용해 2개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e심 도입으로 '1폰 2번호' 시대가 열린다고 관측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 달 1일부터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두 개 번호를 쓸 수 있다. 이동통신 업계는 ‘e심’(embedded SIM) 상용화에 맞춰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주목하고 있다.
18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e심은 유심(USIM)과 같은 역할을 한다. 가입자 정보, 통화기록, 연락처, 문자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이라는 점에서 같다.
유심은 스마트폰에 뺐다 넣었다 하는 방식인 반면, e심은 휴대전화에 자체 내장된다. 휴대전화를 교체하면 유심도 물리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e심은 새 스마트폰에 프로파일(통신사 네트워크 접속 정보)을 내려받기만 하면 된다. e심은 통신사를 옮길 때마다 칩을 다시 구매할 필요도 없다. 프로필 다운로드 비용(2750원)만 내면 된다. 기존 유심 구매 비용(7700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유심(USIM)에는 사용자 정보를 담은 프로필이 1개 들어간다. e심에는 2개까지 들어간다. 휴대전화 단말기 1대에 할당하는 단말기고유식별번호(IMEI)가 최대 2개라 유심과 e심을 활용해 2개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e심 도입으로 ‘1폰 2번호’ 시대가 열린다고 관측한다. 용도에 맞게 업무용과 개인용으로 분리해 사용하는 식이다.
유심과 e심을 각각 다른 이동통신사로 가입해 여러 혜택을 동시에 받는 소비 형태도 나타날 수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도입 초기라 e심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 적다. 보급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는 최신 폴더블폰인 갤럭시 Z 폴드4와 플립4에서부터 e심을 적용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독도 누구 땅?” 물으면 “일본 땅” 소개하는 시리
- #소총_손질 #논두렁_장갑차… 선 넘은 군스타그램 논란
- 마트 간 尹, 아오리사과 보더니 “이게 빨개지나?”
- ‘현대家 며느리’ 노현정, 훌쩍 큰 아들과 제사에 [포착]
- 아이가 떨어뜨린 신발, 코로 주워준 中 코끼리 [영상]
- 기내 난동男 “애아빠 ‘내려서 보자’ 폭언이 발단” 주장
- 동생이 PT 800만원 계약… ‘막장’ 트레이너 “3개월 뒤 환불”
- 100일 만에 사라진 尹의 ‘청년’…“20대 목소리 듣고 있나”
- ‘당당치킨’ 리셀 불법? 당근마켓 “몇 건 더…제재대상 아냐”
- 타이슨 맞아요?… 휠체어 공항 등장에 ‘핵주먹’ 무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