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주행로봇 첨단기술 '총집합' [쿠키포토]
임형택 입력 2022. 8. 18. 15: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를 찾은 관람객들이 농업용 드론 등을 살펴보고 있다.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는 육·해·공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 활용서비스)와 도심항공교통(UAM), 국방 무인체계(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등)를 주제로 과기정통부(130부스), 산업부(130부스), 국방부(60부스), 국토부(15부스) 등 정부 R&D 혁신성과를 전시하는 부스와 기업이 운영하는 70부스 등 총 480부스 규모로 열렸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를 찾은 관람객들이 농업용 드론 등을 살펴보고 있다.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는 육·해·공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 활용서비스)와 도심항공교통(UAM), 국방 무인체계(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등)를 주제로 과기정통부(130부스), 산업부(130부스), 국방부(60부스), 국토부(15부스) 등 정부 R&D 혁신성과를 전시하는 부스와 기업이 운영하는 70부스 등 총 480부스 규모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드론과 운용 인프라, 서비스 플랫폼 등 미래 유망 산업의 시장 및 인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의 신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관련 주요 성과가 전시됐다.
무인이동체란 자율주행 및 원격조종이 가능한 이동체로, 운용환경에 따라 드론·개인용비행체(PAV), 주행로봇, 무인선박 등으로 구분된다.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로봇, 항공, 센서, 위성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 첨단기술의 집약체로 모빌리티, 국방, 배송, 도시관리, 재난대응, 치안, 환경, 기상, 농업, 우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임형택 기자 taek2@kukinews.com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쿠키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청년형펀드’에 달려드는 시중은행...여전한 불완전판매 우려
- 50일 만에 입 연 유아인 “법 심판 달게 받겠다”
- 반도체 인력난에 팔걷은 정부·기업..."질적 양성 더 중요"
- 긴급생계비대출 정식 출시…현장은 ‘북적’
- ‘디아블로 4’, ‘릴리트’ 쫓다보니 시간 훌쩍… 최적화는 아쉽네
- 추경호 “국회 재논의 필요”…국무회의서 ‘양곡법 거부권’ 건의
- 4개월 만에 우루과이와 리매치, 클린스만호 첫 승리 거둘까
- SK 최태원, 노소영 30억 소송에 “사실관계 악의적 왜곡 편집”
- 전두환 손자, 마약혐의로 입국과 동시에 체포…광주행 무산
- 웃음 피던 곳에 그을음만…나이지리아 4남매 참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