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L 시즌 매출 10조원 육박..스페인 라리가의 2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손흥민이 뛰고 있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EPL)의 매출이 우리 돈으로 1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EPL의 올 시즌 매출이 10% 증가해 60억파운드(약 9조5370억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주요 외신이 회계법인 딜로이트 보고서를 인용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PL이 해외 인기 덕분에 엄청난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잉글랜드 프로축구 2부 리그인 챔피언십 소속 클럽의 경우 재정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손흥민이 뛰고 있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EPL)의 매출이 우리 돈으로 1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EPL의 올 시즌 매출이 10% 증가해 60억파운드(약 9조5370억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주요 외신이 회계법인 딜로이트 보고서를 인용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PL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리면서 해외 TV증계권 가격이 치솟은 덕분이다. 올 시즌 PL의 해외 중계권 매출은 사상 처음으로 영국 중계권 매출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EPL은 유럽 5대 축구리그 중에서도 압도적인 매출 규모를 자랑한다.
딜로이트는 스페인 라리가의 올 시즌 매출을 지난 시즌과 비슷한 37억유로(약 4조9658억원)로 예상했다. 독일 분데스리가의 매출은 16% 증가한 36억유로, 이탈리아 세리에A 매출은 소폭 오른 24억유로, 프랑스 리그앙 매출은 지난 시즌과 비슷한 18억유로로 예상됐다. 세리에A와 리그앙 매출은 아직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딜로이트의 팀 브리지 파트너는 "유럽 프로 축구 리그가 점점 더 국제화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럽 리그가 PL을 따라잡기를 원하지만 실제로는 PL이 경쟁 리그들에 비해 훨씬 앞서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EPL의 매출이 프리메라리가나 분데스리가의 두 배에 육박할 정도로 격차를 벌인 이유는 PL이 중계권 계약을 갱신해야 하는 시기였다는 점도 원인이 됐다.
EPL 사무국은 최근 미국 NBC 방송과 6년 27억달러(약 3조5651억원)에 새 중계권 계약을 맺었다. 반면 분데스리가의 경우 4년 전 ESPN과 맺은 6년 계약 기간이 아직 남아있어 2년 후에나 큰폭의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EPL이 해외 인기 덕분에 엄청난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잉글랜드 프로축구 2부 리그인 챔피언십 소속 클럽의 경우 재정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딜로이트에 따르면 2020~2021시즌 챔피언십 소속 클럽의 매출 대비 선수 급여 비율은 125%인 것으로 확인됐다. 매출보다 선수 급여로 지출되는 돈이 더 많은 것이다. 매출 대비 급여 비율은 직전 시즌보다 11.5%포인트 상승해 급여로 지출되는 비용 부담이 커진 것으로 확인됐다. 챔피언십 리그 전체 순부채도 32%증가해 18억파운드로 늘었다. 딜로이트는 챔피언십 리그의 재정 상황이 매우 안 좋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강암 28배 위험에 농약 범벅…껌처럼 씹는 '이 열매' 조심하세요 - 아시아경제
- 2만6000원짜리 새우무한리필 문전성시…대박은커녕 144억 영업손실 - 아시아경제
- "아빠, 나 몸이 안 좋아" 전화 후 연락두절…마트 옆에서 동사한 폴란드 소녀 - 아시아경제
- [정치 그날엔]‘거침없는 직진’ 1993 김영삼…하나회 단칼에 숙청 - 아시아경제
- 명품 걸친 연예인보며 10대 때 벌써 샤넬백?…빨라지는 명품 소비[청춘보고서] - 아시아경제
- '근육붙고 더 싼타페처럼'…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예상도 등장 - 아시아경제
- 한국팬 늘자 구단의 '특급 팬서비스'…이강인, 한글 유니폼 입고 뛴다 - 아시아경제
- 中훠궈 체인점서 생고기 뜯어먹는 쥐 발견…"한동안 그대로 방치" - 아시아경제
- [단독]현대차 2호 전용기 도입…글로벌 현장 경영 박차 - 아시아경제
- "여기저기서 콜록, 독감 확산 계속…유행 기준의 7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