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에 관한 슬픈 진실'..직장 내 괴롭힘 다룬 영화 '인플루엔자'

송세영 2022. 8. 18. 1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인플루엔자'는 폭력이 전염병처럼 전파된다는 사실을 씁쓸하게 보여준다.

황준하 감독은 '태움'으로 불리는 간호사 조직 내의 가혹행위 피해자와 가해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 영화를 연출했다.

신입 간호사 다솔(김다솔)은 선배들로부터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지도를 받는다.

영화는 두 간호사의 관계를 통해 태움이 왜 대물림되는지 들여다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 ‘인플루엔자’는 폭력이 전염병처럼 전파된다는 사실을 씁쓸하게 보여준다. 황준하 감독은 ‘태움’으로 불리는 간호사 조직 내의 가혹행위 피해자와 가해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 영화를 연출했다.

신입 간호사 다솔(김다솔)은 선배들로부터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지도를 받는다. 작은 실수에도 욕설과 질책, 체벌이 돌아온다. 감염병 창궐로 병원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신입 간호사 은비(추선우)가 들어온다. 급박한 상황에 3개월 차 신입 간호사인 다솔이 은비의 교육을 떠맡는다. 다솔은 은비를 선배들과 다르게 대하겠다고 다짐한다. 하지만 은비가 응급치료 도중 큰 사고를 내자 다솔도 폭발하고 만다.

영화는 두 간호사의 관계를 통해 태움이 왜 대물림되는지 들여다본다. 수간호사는 갈등을 중재하기는커녕 선후배 사이의 위계질서만 강조한다. 태움의 피해자였던 다솔은 스스로 증오했던 선배들을 점차 닮아간다.

그동안 점점 퍼지는 바이러스는 직장 내 괴롭힘이 사회구조적 문제임을 상징한다. 정부와 사회가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미루는 사이 그 고통은 간호사 개개인이 짊어질 수밖에 없다.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고 가해자는 피해자가 된다. 25일 개봉. 러닝타임 73분. 15세 관람가.

송세영 기자 sysohng@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