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대리점업계 "빅테크·핀테크 보험판매업 허용 반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험대리점업계에서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보험대리점협회는 17일 빅테크·핀테크 업계에 보험 판매업을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데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빅테크·핀테크 업체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협회와 보험대리점·설계사 등은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하는 운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험대리점업계에서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보험대리점협회는 17일 빅테크·핀테크 업계에 보험 판매업을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데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면서 “빅테크·핀테크 업체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협회는 소비자선택권 제한 등에 따른 소비자 피해 우려, 차별성 없는 혁신으로 기존 모집 채널과의 갈등 발생, 대리점·설계사의 고용 감소, 불공정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 등을 이유로 제시했다.
협회는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대리점 허용은 온라인 플랫폼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보험시장 잠식을 초래해 45만여 보험대리점과 설계사에게 건전한 경쟁이 불가능한 기울어진 운동장이 된다”고 주장했다.
협회와 보험대리점·설계사 등은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대리점 진입 허용을 반대하는 운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9월 온라인 플랫폼의 보험 비교 서비스를 보험판매 중개 행위라고 보고 이를 제한했다. 하지만 최근 빅테크·핀테크 업체들 요청에 따라 금융규제 샌드박스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적용한 보험 비교 서비스 허용이 검토되고 있다.
빅테크·핀테크 업계에선 과도한 규제로 ‘혁신 서비스’ 사업을 펴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 제공을 하기 위해선 기존 사이버마케팅(CM) 채널과 함께 텔레마케팅(TM) 채널과 대면 채널 영업을 모두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일론 머스크, 이번엔 “맨유 사겠다” 뜬금포 트윗
- 현대家 며느리 되는 리디아고 “결혼 후에도 선수 생활”
- 전여옥 “이준석, 울고짜고…그가 원한건 尹의 체리따봉”
- ‘꺼져~ 오지마!’ 미국 최고 부자 도시의 최악 님비
- 민주 전준위 ‘당헌 80조’ 개정… “이재명 방탄용” 반발도
- 주담대 고정 금리 高高, 변동보다 비싸져… 혼돈의 대출 시장
- ‘닭고기값 담합’ 업체들, 혐의 부인…“공익적 행위”
- 집중호우 침수車 손해액 1590억 추산… 외제차만 900억
- 값싼 재료로 숭례문 단청 복구한 단청장, 정부에 9억 배상
- “물고문·회초리”…9년간 삼남매 학대한 40대 징역형 집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