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시대 건강]고지혈증 치료..일단 시작하면 중단없이 꾸준하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지혈증은 이상지질혈증이라고도 부른다.
흔히 말하는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것이 고지혈증이다.
고지혈증 중에서도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을 고콜레스테롤혈증, 중성지방이 높은 것을 고중성지방혈증이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도 더 중요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진료를 하다 보면 고지혈증 약을 먹은 후 콜레스테롤이 떨어진 것을 검사로 확인하면 약을 중단하는 분이 적지 않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생 원인의 25% 가까이 차지
증상 없어 검진으로 확인해야
고지혈증은 이상지질혈증이라고도 부른다. 흔히 말하는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것이 고지혈증이다. 고지혈증 중에서도 콜레스테롤이 높은 것을 고콜레스테롤혈증, 중성지방이 높은 것을 고중성지방혈증이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도 더 중요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콜레스테롤 종류는 제법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도 흔하게 검사하고 얘기되는 것이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다. 앞에 붙어 있는 HDL과 LDL은 지질단백인데 콜레스테롤이 이동하기 위해서 타고 가는 차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어느 차를 타고 가는지에 따라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서 무엇을 하는지가 달라진다. LDL이라는 차를 타고 가는 콜레스테롤은 우리 혈관벽에 쌓이기 쉽고 동맥경화를 일으킨다.
고지혈증이라고 하면 대부분 LDL-콜레스테롤이 지나치게 많아서 줄여야 하는 병을 얘기한다. 그래서 LDL-콜레스테롤을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른다. 협심증, 심근경색, 뇌경색과 같은 큰 병인 심장뇌혈관질환이 오는 원인이다. 고지혈증은 한국 남자의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병이 생기는 원인의 25% 가까이를 차지한다. 전체 심장뇌혈관질환으로 봐도 흡연과 고혈압 다음으로 중요하다. 그런데도 생각보다 고지혈증에 대해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분이 많다. 2016년 자료에 의하면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 중 제대로 치료되고 있는 사람은 41% 정도에 불과하다고 한다.
고지혈증은 아무런 증상이 없다. 검진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검진 후 콜레스테롤 수치가 너무 높으면 의사와 상의해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 치료를 시작하든, 하지 않든 콜레스테롤이 높다면 일단은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 우리 생활을 바꿔야 한다. 가장 중요한 건 우리 먹거리에서 포화지방을 줄이는 것이다. 주변에서 흔히 먹는 음식 중 소나 돼지처럼 네 발 달린 동물의 고기에 있는 지방과 버터, 아이스크림에 있는 지방을 포화지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런 얘기를 하면 ‘저 그런 거 별로 안 먹는데요?’라고 많은 분, 특히 중년 이후 여성분들이 답하곤 한다. 실제로 그분들은 포화지방을 별로 안 먹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에너지양의 6% 미만만 포화지방으로 섭취하라고 권장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포화지방으로 평균 6% 조금 넘게 섭취한다. 더군다나 젊은 사람들은 포화지방을 제법 먹지만, 중년 이후에는 포화지방을 6% 기준보다 적게 먹는 사람들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 더 줄일 수 있는 부분이 있을지 생각해보도록 권장하는 편이다. 그리고 포화지방을 줄이는 것보다 효과는 적지만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은 체중을 감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덧붙일 점은 고혈압과 같이 고지혈증도 일단 치료를 시작하면 꾸준히 치료를 이어가야 하는 병이라는 것이다. 진료를 하다 보면 고지혈증 약을 먹은 후 콜레스테롤이 떨어진 것을 검사로 확인하면 약을 중단하는 분이 적지 않다. 약을 중단하면 대부분은 다시 콜레스테롤이 원래대로 올라간다. 나이가 있어서 몸이 많이 쇠약해졌거나 아주 큰 병에 걸려서 몸 상태가 많이 안 좋아진 경우가 아니라면 한번 시작한 고지혈증 치료는 계속해야 한다.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교 1등 소년가장' 김홍일, 백종원 가정교사였다 - 아시아경제
- 이재용, 시민들 향해 웃으며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나요" - 아시아경제
- 하루아침 388억 돈방석…'블랙핑크 완전체'에 양현석 웃었다 - 아시아경제
- 300만원 찍었던 명품 협업폰 가격 뚝…되팔이꾼 낭패 - 아시아경제
- "연말엔 통뱃살 참치회·초밥 파티"…참다랑어값 '반토막' - 아시아경제
- "여자애한테 남자이름 쓰지마…콤플렉스 생겨" 강제하는 '이 나라' - 아시아경제
- "시동 꺼져도 2~3시간 배터리 온도 체크"…전기차 화재 우려 덜어낸다 - 아시아경제
- '서울의봄' 반란군에 맞서다 숨진 병장…조선대 명예졸업장 받는다 - 아시아경제
- 한동훈·이정재 사진에 대상홀딩스우 '7上'…누가 거래했나 보니 - 아시아경제
- "놀랬제, 나도 이런 우박은 처음이데이" 부산 밤새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