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이어 육군도 "군복 걸친 보디프로필, SNS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군에 이어 육군에서도 '보디 프로필' 금지령이 내려졌다.
육군 관계자는 "보디 프로필 촬영이나 공개 자체를 금지하는 게 아니라 군인복제령에 어긋나게 군복을 착용하거나 활용한 사진을 온라인에 공개하지 말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군도 지난 5월 예하부대에 '군복∙제복을 착용한 보디프로필 촬영 및 SNS 게시 금지' 공문을 보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디프로필 자체 금지는 아냐, 온라인 공개만 금지
공군에 이어 육군에서도 ‘보디 프로필’ 금지령이 내려졌다. 군복 상의 단추를 풀어헤치거나 아예 벗어젖힌 채 근육질 몸매를 자랑하는 사진 촬영 행위를 금지한 것이다.
17일 육군에 따르면 육군본부는 최근 예하부대에 ‘군복·제복 착용 시 군인 기본자세 유지 재강조’라는 제목의 공문을 내려보내 군복이나 제복을 착용하거나 활용하는 식의 보디 프로필 사진을 온라인에 게시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이 공문에서 육군은 “군복∙제복 착용상태 보디 프로필 촬영 및 SNS 게시 등 외적 군기, 군 기본자세 문제가 주기적으로 이슈화돼 국민의 대군(對軍) 신뢰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육군은 일부 장병이 운동과 식단관리로 가꾼 근육질 몸매를 과시하는 사진을 촬영하면서 군복을 벗어 어깨에 걸치는 등 소품처럼 활용하고, 이를 온라인 쪽지창이나 누리소통망 계정에 프로필 사진으로 공개해 ‘군기 문란’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육군은 공문에서 군인의 품위 유지를 위해 군복을 단정하게 착용해야 한다는 군인복제령과 국방부 훈령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군복∙제복 착용 시 군인 기본자세 유지를 강조하니, 각 부대는 장병 및 군무원 대상으로 강조사항을 교육하고 위반자에 대해 엄중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육군은 이번 공문이 장병의 보디 프로필 촬영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육군 관계자는 “보디 프로필 촬영이나 공개 자체를 금지하는 게 아니라 군인복제령에 어긋나게 군복을 착용하거나 활용한 사진을 온라인에 공개하지 말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공군도 지난 5월 예하부대에 ‘군복∙제복을 착용한 보디프로필 촬영 및 SNS 게시 금지’ 공문을 보냈다. 공군은 공문에서 “군복을 입고 신체의 일부를 부적절하게 노출하는 것은 군의 기본자세 문제와 관련 있는 것이라 국민의 군에 대한 신뢰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공군 역시 보디 프로필을 SNS에 게시하는 것이 ‘품위유지 의무 위반’이라고 본 것이다.
해군은 보디 프로필을 거론하지는 않았으나 올해 초 ‘사이버 군 기강 확립 강조 지시’ 공문을 통해 군복 착용에 품위를 지키라고 강조한 바 있다.
노혜진 인턴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美서 차량 절도 ‘기아 보이즈’ 확산…현대·기아 표적된 이유는?[영상]
- KTX서도 “애들 XX 시끄러워”… 말리자 ‘발길질’ [영상]
- ‘꺼져~ 오지마!’ 미국 최고 부자 도시의 최악 님비
- ‘에어부산 난동’ 목격담… “아기 아빠에게 침도 뱉어”
- “어딜 기어나와” 협박…김정숙 여사, 직접 경찰서 갔다
- 민주 전준위 ‘당헌 80조’ 개정… “이재명 방탄용” 반발도
- 춘천 도로서 또 맥주 와르르… “이젠 미담 아닌 민폐”
- “아이 기저귀, 부모가 버리세요” 일본 어린이집 근황
- 최대 120㎜ ‘물폭탄’에 전북 침수 피해 잇따라 [포착]
- “태극기 흔들며 경찰 조롱”…광복절 폭주족 77명 검거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