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검사 전 '이것' 주의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궁경부암은 자궁 입구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다.
자궁경부암 검진을 앞두고 있다면, 검사 전 주의점을 알아보자.
자궁경부암 검사 전 특별히 주의할 사항은 없다.
자궁경부암 검사는 첫 성관계를 가진 1년 이내부터 시작해 적어도 1년에 1회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혈·염증 있다면 검사 미뤄야
자궁경부암 검사 전 특별히 주의할 사항은 없다. 다만 건보공단 일산병원 산부인과에 따르면, 생리기간이나 기타 이유로 출혈이 있는 경우, 염증으로 인해 분비물이 심하게 많이 나오는 경우 등에는 검사를 미루는 게 좋다. 혈액 세포나 염증세포로 인해 검체가 오염돼 검사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검사 전 치료를 먼저 받는 게 낫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검사 24시간 전 과다한 질 세척이나 성교, 질정 사용을 피하는 게 좋다. 검사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 생리 끝나고 나서 1주 내외(배란기 직전)이다.
◇2년 간격 국가검진은 필수
자궁경부암 검사는 첫 성관계를 가진 1년 이내부터 시작해 적어도 1년에 1회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대한부인종양학회에서는 성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여성은 누구나 자궁경부암 검진을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건강보험공단은 만 20세 이상 여상을 대상으로 2년마다 1회 무료 검진을 시행한다. 최소한 2년에 1회 검진은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등 이상이 발견된 경우라면, 검사간격 단축이 필요하다.
번거로울 수 있지만, 건강을 생각한다면 자궁경부암 검진은 적어도 70대까지는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길 권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학칼럼] 홀수해 출생 여성,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놓치지 마세요
- 자궁경부암 치료 후 '자궁 폐쇄' 여성, 임신·출산 성공
- “자궁경부암 백신, 굳이 ‘9가’ 필요없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우려? "문제 없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20代 자궁경부암 계속 느는데… 인지율 낮고, 알아도 검진 안 받아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꾸준히 복용하면 ‘암 사망률’ 낮추는 ‘약’ 있어
- 손등 위로 울퉁불퉁 불거진 핏줄… ‘건강 적신호’일까?
- 당뇨병 여성에게서 태어난 자손, 선천적으로 ‘이 장기’ 약해
- 소변 색은 무조건 맑은 황갈색이라 건강? 사실은…
- 귀찮다고 양치질 안 하고 자면… 뇌에 ‘이런’ 타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