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임금명세서 안 줘요".. 솜방망이 처벌 탓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금명세서 교부가 의무화된 지 약 9개월이 지났지만 이를 위반해도 실제 처벌까지 이어진 사례는 1%가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는 고용노동부의 '임금명세서 작성·지급 의무 위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된 지난해 11월 19일부터 지난 6월 30일까지 신고된 854건 중 과태료 부과 경우는 단 5건에 그쳤다고 15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태료 처분 5건.. 전체 0.6% 불과
임금명세서 교부가 의무화된 지 약 9개월이 지났지만 이를 위반해도 실제 처벌까지 이어진 사례는 1%가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는 고용노동부의 ‘임금명세서 작성·지급 의무 위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된 지난해 11월 19일부터 지난 6월 30일까지 신고된 854건 중 과태료 부과 경우는 단 5건에 그쳤다고 15일 밝혔다. 전체의 0.6%에 불과한 수준이다.
근로기준법은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를 위반할 경우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돼 있지만 고용부는 과태료 부과 대신 개선지도(378건·44.2%)나 기타 종결(381건·44.6%)로 대부분의 사건을 마무리했다.
직장인 6명 중 1명은 여전히 임금명세서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이 여론조사 업체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임금명세서를 교부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17.4%에 달했다. 특히 비정규직은 이 비율이 30.8%로 올랐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48.1%, 월 급여 150만원 미만 노동자 35.1%도 임금명세서를 받지 못한다고 했다.
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6900원’ 마트치킨 열풍에…황교익 “치킨산업의 민낯”
- [단독] “의식 없던 인하대 피해자, 자진 추락 어려워” 법의학 결론
- 가양역서 사라진 20대 남성…가족 “실종 수사해달라”
- “술 먹고 한강 빠졌다” 20대 실종… 경찰 수색 중
- 수도권 등 오후부터 최대 1시간 50㎜ ‘폭우’
- 뉴진스, 데뷔 앨범으로 또 기록 세웠다
- “대체 남의 우산은 왜 가져가는 건가요?” [사연뉴스]
- “반려견, 원숭이두창 감염” 첫확인…확진주인과 한침대
- 음식 다먹고 “윽, 머리카락”…사기극 의혹 72만 유튜버
- 김건희 저격한 ‘국민대 저승사자’…개그맨 서승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