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농촌교회.. 어르신 사역 위해 '현장 목회' 발품

박재찬 2022. 8. 16. 03: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 절벽 시대의 한국교회] <상> 초고령 지역 교회의 생존법
배용한(군위 대율교회·오른쪽) 목사가 지난 5일 경북 군위군 부계면의 한 공터에서 잡초제거 작업을 마친 뒤 쉬고 있는 동네 어르신들에게 생수와 카스텔라를 나눠준 뒤 담소를 나누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72년 만에 한국의 총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86명으로 3년 연속 세계 꼴찌를 기록할 만큼 저출산이 심각하다. 반면 고령인구를 비롯해 1인 가구와 다문화 인구는 증가 추세다. 이처럼 급격한 인구 변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소용돌이 한복판에서 한국교회 역시 유례없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인구절벽 시대에 들어선 한국교회의 오늘과 내일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

마라톤대회가 걷기대회로

지난달 9일 경북 군위군 우보면에 있는 우보중앙교회(천상연 목사)는 인근 화수교회(김영길 목사)와 합병예배를 드렸다. 양 교회 모두 교인 수가 급감하는 현실과 은퇴를 앞둔 김영길 목사의 상황이 잘 맞아떨어진 것이다. 두 교회는 서로 양보하면서 교회를 합치는 데 성공했다.

군위군기독교연합회 회장인 천상경(의흥장로교회) 목사는 15일 “교회 합병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피할 수 없는 인구 감소 추세 속에서 상생 방안을 찾는 교회들의 또 다른 선택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군위 지역은 전국 229개 시·군·구 중에서 수년째 노령화지수 1위를 이어가고 있다. 유소년인구(만 14세 이하) 100명당 고령인구(65세 이상)가 880.1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늙은 도시다. 가장 빨리 없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소멸도시 1위’이기도 하다. 10년 넘게 이어온 마라톤대회가 뛸 사람이 없어 3년 전 걷기대회로 바뀐 것은 이 지역이 처한 현실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마을 속 ‘첨벙’ 목회

지난 5일 오전 군위군 대율리 입구. 마을 초입에 ‘로또 땅 부동산’ ‘대구 편입 믿습니다!’ 같은 문구가 파노라마처럼 지나갔다. 모두 지역 이슈와 관련된 문구다. 인구가 줄자 인근 대도시인 대구로 편입을 요구하고 있는 데다 대구 신공항 건설 추진 얘기가 나오면서 이 지역까지 부동산 가격이 요동치는 분위기가 고스란히 전해졌다.

마을 입구에 있는 대율교회(배용한 목사)에 들어서자 담임 배용한 목사는 바쁜 모습이었다. 냉장고에서 생수를 꺼내 아이스박스에 넣고, 봉지에 정성스레 포장된 카스텔라를 빈 박스에 차곡차곡 담았다. 배 목사와 함께 향한 곳은 지자체 주도로 마을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노인 일자리사업’ 현장이었다.

31도 넘는 날씨에 70대가 훌쩍 넘은 노인 10여명이 그늘에서 쉬고 있었다. 옆에는 낫과 호미가, 길가엔 어르신 유모차 등이 눈에 띄었다. 이들은 오전 중 3시간 정도 일하는데, 배 목사는 쉬는 시간에 맞춰 시원한 생수와 카스텔라를 전달하고 이들과 담소를 나눈다.

“아이고 목사님, 왜 자꾸 이러능교. 미안하구로. 다음엔 우리가 국수로 대접할게예.”

빵과 물병을 받아 든 어르신들이 배 목사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배 목사는 인근 작업 장소 서너 곳과 마을의 유일한 미용실까지 돌면서 간식을 전달하고, 어르신들의 안부를 묻고 자녀 얘기를 들어줬다. 자연스럽고 익숙해 보였다. 마을 사람들 마음속으로 ‘첨벙’ 들어간 느낌이었다.

“총동원 주일이라든지, 제자훈련을 한다고 고령 어르신들을 교회로 모시는 게 여간 힘든 게 아니더라고요. 제가 밖으로 나가는 게 훨씬 쉬운 일이죠.”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리는 군위 지역은 마을 역사가 1000년에 달한다. 지역주민들 정서 속에는 불교 세와 미신 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다. 전도가 좀처럼 쉽지 않다는 얘기다. 8년 전 부임한 배 목사는 “이분들과 같이 웃고 울면서 함께 살아가는 것이 내가 맡은 목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도시교회 손길 이어졌으면”

같은 날 차로 30분 정도 떨어진 산성면에 있는 군위백학교회(안재근 목사)에서는 대구의 한 교회 청년부 신앙수련회가 열리고 있었다. 주민 80명 정도 되는 이 마을에서 50대 후반의 안재근 목사는 청년 축에 속한다. 5년 전 이곳으로 사역지를 택한 안 목사는 주중에는 대구에서 아내와 함께 카페를 운영하고, 주일을 포함해 주중 2차례 교회 사역을 한다. 소위 ‘이중직 목회자’다.

군위군기독교연합회 등에 따르면 70개 안팎의 군위지역 교회 가운데 상당수가 성도 수 20명 미만의 미자립교회다. 이들 교회 목회자는 대부분 농사일 등을 병행하거나 사모인 아내가 일한다. 안 목사는 “교단으로부터 소정의 지원금을 받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 별도 수입이 없이는 목회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교회 출석 성도 대부분이 직장은 물론 정기적인 수입이 없는 노인들로 구성돼 있기 때문이다.

안 목사의 시선 역시 열댓명 되는 성도를 넘어 마을 공동체로 향해 있었다. 그는 “동네 어르신들의 마지막 인생이 예수님 안에서 마감할 수 있도록 도와야겠다는 게 목회 방향”이라며 “한국교회 부흥의 모판이라고 할 수 있는 농촌교회 돕는 일에 많은 도시교회가 관심을 갖고 동역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군위군기독교연합회장인 천 목사는 “마을의 존립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지만 교회가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선한 영향력을 묵묵히 펼쳐나가는 것이 우리의 사명 아니겠느냐”고 강조했다.

군위=글·사진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