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충청서도 '확대명'.. 이재명, 누적 득표율 73.28% 압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전당대회 부산·울산·경남(부울경)과 충청권 순회경선에서도 경쟁 후보들을 압도하며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 기류를 이어갔다.
이 후보는 20~21일 치러지는 호남 순회경선에서 사실상 당대표 당선을 확정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후보는 14일 대전 한밭종합운동장에서 공개된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12개 시도에서 누적 득표율 73.28%를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일 호남 경선서 반전 노려
당내 친문 영향력은 갈수록 약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전당대회 부산·울산·경남(부울경)과 충청권 순회경선에서도 경쟁 후보들을 압도하며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 기류를 이어갔다.
이 후보는 20~21일 치러지는 호남 순회경선에서 사실상 당대표 당선을 확정지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후보는 14일 대전 한밭종합운동장에서 공개된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12개 시도에서 누적 득표율 73.28%를 기록했다.
이 후보의 권리당원 누적 투표율은 전날보다 다소 낮아졌는데, 이날 강훈식 후보의 지역구인 충남 경선에서 66.77%로 상대적으로 낮은 권리당원 득표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후보는 충남을 제외하고 순회경선을 마친 나머지 11곳의 시도에서 모두 70% 이상의 득표율로 1위를 기록했다.
박용진 후보는 누적 득표율 19.90%, 강 후보가 6.83%를 각각 기록했다.
이 후보는 이날 함께 발표된 1차 국민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79.69%의 지지를 얻었다. 박 후보가 16.96%, 강 후보가 3.35%로 뒤를 이었다.
박 후보는 국민 여론조사에, 강 후보는 충청 지역 지지세에 기대를 걸었으나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후보는 “당원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최고의 투표율을 보여주시길 각별히 당부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 후보는 “이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고, 강 후보는 “폭우로 인한 충청권의 낮은 투표율이 아쉽다”고 했다.
이날 반환점을 돈 민주당 전당대회는 다음 주 호남 순회경선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8·28 전당대회 대의원 및 권리당원 총선거인수는 119만여명이다. 이 가운데 호남에만 42만3000여명의 대의원·권리당원 유권자가 몰려 있다. 전체의 35% 수준이다.
특히 대의원(30%)·권리당원(40%)의 득표 반영비율이 70%에 이르기 때문에 호남에서도 ‘확대명’ 기류가 이어진다면 사실상 승부는 끝나는 셈이다.
반면 반전의 계기가 호남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호남 대의원·권리당원 투표율이 50%에 그친다 해도 현재까지 진행된 12곳의 권리당원 투표에서 세 후보가 얻은 총득표수(11만9000여표)보다 2배 가까이 많은 표가 쏟아지기 때문이다.
호남 출신인 박 후보와 ‘40대 기수론’을 내건 강 후보는 호남에서의 마지막 반전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후보의 독주가 이어지면서 당내 주류였던 친문(친문재인)계의 당내 영향력은 갈수록 약화하는 분위기다.
최근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당 강령에서 ‘소득주도성장’과 ‘1가구 1주택’이라는 단어를 각각 ‘포용성장’과 ‘실거주·실수요자’로 바꾸기로 했다. 이는 문재인 전 대통령 임기 5년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이라 친문 진영은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당직자 기소 시 직무 정지’를 규정한 당헌 80조 개정 움직임도 친문계를 이끄는 전해철 의원이 공개 반대했지만, 지도부는 개정 수순에 돌입한 상태다.
박 후보와 강 후보 간 단일화가 경선 중반까지도 진척이 없어 ‘반명(반이재명) 표’를 몰아주려던 친문계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한 친문 의원은 “이제 친문계도 이번 선거에서 손을 털든지, 아니면 단일화를 원하는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든지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부산·대전=오주환 기자, 안규영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지적장애 누나 감금 혐의 40대…“배달 가면 가출할까봐”
- 홍준표, 이준석에 “왜 그런 욕 먹었는지 생각해보길”
- 로또 1등 20명 11억원씩… 당첨지역 70%가 수도권
- 이준석 “尹대통령 지도력 위기…욕설 전해들었지만 참아”
- ‘아줌마’ ‘심보’ 운운 쪽지에 “제가 빌런인가요?” [사연뉴스]
- 민주당 “좁쌀같은 한동훈, 검찰개혁 거꾸로”…집단성토
- “이은해, 남편 ‘담근다’고 했다” 조현수 전 여친 증언
- 주차장 한칸 차지한 ‘킥보드’…“옮기면 고소” 황당 경고
- 수해 복구 아직인데 주말 전국 비…수도권 최대 120㎜
- “웃겨봐” 후임병 옷 벗기고 추행한 20대 ‘집유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