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사랑하며] 진짜로 TV를 끄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은 여행이다.
같은 기간 TV를 시청한 사람은 75.2%, 74.4%, 85.9%로, TV 시청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여가 활동이다.
양자 간 격차, 그러니까 TV를 보고 싶지 않은데도 TV를 본 사람이 59.4%, 56.5%, 57.7%에 달한다.
우리나라 국민 중에서 TV를 보는 사람들은 평일 2시간31분, 토요일 3시간16분, 일요일 3시간33분 시청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은 여행이다. 2017년에는 71.5%, 2019년 70%, 2021년엔 67.7%가 여행을 떠나고 싶어 했다. 실제로 여행을 떠난 사람은 11.6%, 10.2%. 6.6%에 불과하다. 양자 간 격차, 즉 여행을 가고 싶지만 여행을 떠나지 못한 사람은 59.9%, 59.8%, 61.1%로 해마다 늘고 있다. 이유가 뭘까? TV 때문이다. 같은 기간 TV를 시청한 사람은 75.2%, 74.4%, 85.9%로, TV 시청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여가 활동이다. 실제 TV가 보고 싶어서 본 사람은 15.8%, 17.9%, 28.2%밖에 되지 않는다. 양자 간 격차, 그러니까 TV를 보고 싶지 않은데도 TV를 본 사람이 59.4%, 56.5%, 57.7%에 달한다. 과연 TV를 끌 수 있을까?
2004년 11월부터 12월 사이에 EBS 교육방송에서 모두 124가구를 대상으로 20일 동안 TV 끄기 실험을 했다. TV를 치웠다. 집안이 조용해진다. 일찍 자고 상쾌하게 일어난다. 청소를 한다. 음악감상·라디오청취·독서·운동 등 여가 활동이 다양해진다. 가족들이 하는 말을 귀담아듣고, 자녀를 더 잘 이해하고, 서로 더 잘 공감한다. 20일이 지난 뒤 TV를 다시 거실에 설치했다. 아이들이 보지 말아야 할 폭력적이고 잔인한 장면이 너무 많고, TV 보느라 정작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았으며, TV의 노예로 살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우리나라 국민 중에서 TV를 보는 사람들은 평일 2시간31분, 토요일 3시간16분, 일요일 3시간33분 시청한다. 볼 필요 없는 프로그램은 보지 않고, 보지 않을 때는 TV를 꺼서 각각 20%씩 시청시간을 40% 줄이면 자유시간은 평일 1시간, 토요일 1시간18분, 일요일 1시간25분씩 늘어난다. 한 주에 8시간 가까운 시간을 버는 셈이다. 아예 TV를 끄면 매주 17시간20분을 얻는다. 근로시간 8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주당 이틀이 더 늘어난 9일을 사는 격이다. 나는 2005년 TV를 치웠다.
최석호 한국레저경영연구소장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라인강이 고작 30㎝… 최악 가뭄 유럽, 경제 직격탄
- ‘확대명’ 굳힌 이재명 “사상 최대 투표율도 보여달라”
- 키즈카페 기차 놀이기구 레일에 발 끼인 3세 아동 숨져
- 홍준표, 이준석에 “왜 그런 욕 먹었는지 생각해보길”
- 로또 1등 20명 11억원씩… 당첨지역 70%가 수도권
- 이준석 “尹대통령 지도력 위기…욕설 전해들었지만 참아”
- 한동훈 “서민 착취 깡패·보이스피싱 수사가 진짜 민생 챙기기”
- “나경원 보고 왔지”…“비왔으면”에 묻힌 그날의 망언들
- 다친 채 버려진 포메 안으니…유기견의 슬픈 샴푸향 [개st하우스]
- ‘수해 우려에도 책임자 휴가?’…대통령실 “악의적 왜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