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 조언, 의사들은 다 지킬까[그랬구나]
“운동해라, 술 먹지 마라, 스트레스 받지 마라”
병원 가면 듣는 단골 멘트다. 정말이지 스트레스 없이 살고 싶다. 세상은 우리를 내버려 두지 않는다. 전쟁 같은 하루가 끝나면 운동할 체력이 없다. 가끔 친구와 마시는 소주 한 잔도 없다면 무슨 낙으로 살까. ‘하나 마나 한 소리 아니야?’ 흰 가운을 입고 책상 너머 앉은 의사가 괜히 원망스럽다.
의사는 과연 저 수칙을 지킬까. 스트레스 안 받고 사는 게 가능할까. △김상현 순천향대 부속 서울병원 고도비만수술센터장 △노재성 아주대병원 정신의학과 교수 △박중철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한병덕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4인에게 물었다.
“솔직히 말해주세요. 달리 할 말이 없어서 하는 말 아닌가요”
김 센터장: 정말 아닙니다. 의학적으로 꼭 필요해서 하는 말입니다. 저는 특히 비만 환자를 많이 보는데요, 좋은 식사 습관과 운동 생활화가 필요하다고 매번 강조합니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으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이죠.
노 교수: 건전하게 생활하는 게 건강에 중요하거든요. 어려운 일이죠.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사람들은 운동으로 몸을 움직이는 게 긴장을 완화시켜줘요. 술은 그 자체가 ‘독’이죠. 술만큼 잘 알려져 있는 발암, 치매 유발 물질이 없어요. 잠이 안 와서 술 먹고 잔다는 분들이 있는데요. 위험한 행동입니다. 차라리 잠이 잘 오게 하는 약을 드세요. 술이 약보다 훨씬 더 위험해요.
“의사들은 대부분 3가지 수칙 잘 지키나요”
박 교수: 전혀요. 건강 지식은 습관과 무관합니다. 안다고 해서 그대로 지키며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의사 중에도 비만에, 흡연하고, 과음하는 사람 많습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은 지식이 아닌 성숙한 인격과 연관이 깊습니다.
“스트레스 안 받고 사는 게 가능한가요”
노 교수: 병원에서 말하는 ‘스트레스 받지 마라’의 정확한 의미는요. 나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에 노출되는 걸 줄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전날 밤 술을 많이 먹고 다음 날 ‘빵꾸’ 냈다고 칩시다. 이후 업무에 지장을 줄 거고 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겠죠. 내 벌이에 맞지 않는 과소비도 마찬가지고요.
한 교수: ‘스트레스 받지 마라’는 말이 사실 좀 무책임하죠.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 사람이 있는데 어떻게 스트레스를 안 받고 살겠어요. 전 차라리 스트레스 빨리 풀 방법을 궁리합니다. 좋아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좋아하는 음식을 먹고, 재미있는 웹툰을 보는 등 소소한 즐길 거리를 매일 찾고 있습니다. 감정적으로 힘들 때는 내가 힘들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슬퍼합니다. 그리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박 교수: 생명을 가진 존재는 모두 스트레스를 받아요. 그 스트레스를 건강한 삶의 원동력으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는 대개 현재의 나에게 변화를 요구하는 계기가 됩니다. 스트레스를 회피하지 않고 발전의 기회로 삼은 사람이 건강한 삶을 삽니다.
“스트레스는 정말 만병의 근원인가요”
한 교수: 스트레스는 위장 기능을 떨어트리고 자율신경계 균형을 깨트립니다. 폭식, 과음 등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우울증, 불안장애, 수면장애의 주요 원인입니다.
박 교수: 그렇지는 않습니다.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불안과 용기 중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 그 태도가 삶의 행복과 건강을 결정합니다. 스트레스를 극복하며 성숙해지고, 삶의 행복을 더 깊이 누릴 수 있습니다.
“의사는 밀가루와 기름지고 맵고 자극적인 음식 안 먹나요. 그럼 무얼 먹나요”
한 교수: 의사들도 다 먹어요 ^^. 다만 의식적으로 튀김류, 자극적인 음식, 탄 음식은 피하려고 하더라고요. 저는 정제 탄수화물(면, 빵, 떡)보다 통곡식 밥을 즐깁니다. 가공육은 절대 먹지 않습니다. 탄산음료를 비롯해 모든 종류의 단맛이 나는 음료는 마시지 않습니다.
김 센터장: 저는 특히 기름진 음식과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거든요. 먹는 것 자체가 큰 기쁨이라 피하기 쉽지 않아요. 절대 안 먹는 음식은 위암 발생률을 높이는 탄 음식 정도입니다. 대신 평소 혼자 먹을 때는 탄수화물 비중을 줄이고 단백질, 지방을 골고루 섭취하려 합니다.
박 교수: 현대 의학과 전통 의학을 아우르는 오래된 진리가 있습니다. 소식다동, 즉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라는 말입니다. 고칼로리 음식, 설탕·밀가루와 같은 당화지수가 높은 음식, 조미료와 염분이 가득한 자극적 음식 모두 건강을 망가뜨립니다. 성숙한 어른이라면 필요 이상의 음식과 자극을 스스로 삼갈 수 있어야 합니다.
“평소 건강관리는 어떻게 하시나요”
한 교수: 체중 관리를 신경씁니다. 우리 나이에 체중이 늘어난다는 것은 지방이 붙는다는 뜻이거든요. 일상 속에서 많이 움직이려 해요. 대중 교통과 계단을 애용합니다. 영양제 챙겨 먹고, 가끔 수액주사도 맞고요. 그리고 수면의 질을 높이려고 노력합니다.
박 교수: 저는 술은 적당히 마시고 담배를 피지 않습니다. 한 달에 절반 이상은 3km 달리기를 꾸준히 하고요. 엘리베이터보다 계단으로 다니는 걸 좋아합니다. 식사할 때는 밥은 반 공기만, 대신 반찬은 다 먹습니다. 특히 나물, 야채, 두부, 콩 반찬을 좋아합니다. 잠은 가급적 6시간 이상 자려고 노력합니다. 잠은 몇 시에 자는지보다 몇 시간을 자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그랬구나. 의사도 사람이다.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은 별개다. 스트레스는 인생의 동반자다. 용기 내 마주하자. 너무 힘들 때는 주변에 털어놓고 도움을 요청하자. 가장 효과적인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외환죄 추가’ 尹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임박…지금 한남동은
- 국회 내란 국조특위, 尹대통령 등 증인 76명 채택
- 제주항공 유가족 대표 “철저한 진상규명…특별법 제정, 의견 반영해 달라”
- 쿠팡CLS 첫 근로감독에…“불법경영에 면죄부” 비판 봇물
- 도경수·원진아 빼면 뭐가 다를까…18년 만에 돌아온 ‘말할 수 없는 비밀’ [쿠키 현장]
- 경찰·공수처 “경호처와 회동…평화적 영장집행 협조 요청”
- ‘은퇴’ 구자철 “한국 축구 위해 일하고파…무한한 책임감 느낀다” [쿠키 현장]
- ‘尹 체포’ 이르면 내일 새벽 5시 개시…장기전도 대비
- 국토위, 여객기 참사 현안질의…‘조류 충돌‧방위각 시설’ 도마
- 한은 “추경 편성해도 인플레 자극할 가능성 낮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