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3불 1한' 강요 대신 북핵 억제에 동참하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지난 9일 박진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5가지 사항을 말했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3불(不)'을 지키고,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하지 말고, 미국에 경도되지 말라는 요구였다.
중국은 2014년 러시아판 사드인 S-400 포대 도입을 결정했고, 2017년부터 한반도 인근에 실전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지난 9일 박진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5가지 사항을 말했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3불(不)’을 지키고,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하지 말고, 미국에 경도되지 말라는 요구였다. 10일에는 사드의 운영 제한을 의미하는 ‘1한(限)’ 문제까지 거론했다.
중국의 ‘3불 1한’ 요구는 예상됐던 압박이다. 미국은 중국을 겨냥한 경제·안보 봉쇄 노선을 강화하고 있고, 윤석열정부는 한·미동맹 강화를 천명한 상태다.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이해 못할 것은 아니다. 다만 사드 배치와 칩4 참여 등은 우리가 국내외 여건을 고려해 결정할 주권적 사안이다. 중국이 입장을 밝힐 수는 있지만, 지켜야 한다고 강요할 수는 없다. 정부도 감정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없다. 우리의 입장을 설명해 중국의 이해를 구하고 국익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면 된다. 한·중이 서로의 입장을 배려하는 것이 오는 24일 수교 30주년을 맞는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방법일 것이다. 사드 배치는 북한 핵과 미사일에서 우리를 방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중국은 2014년 러시아판 사드인 S-400 포대 도입을 결정했고, 2017년부터 한반도 인근에 실전 배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사드가 한국을 겨냥하지 않는 것처럼, 우리나라에 배치된 사드도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비대위원장은 11일 ‘3불 정책과 관련해 중국과 합의나 조약을 맺은 적 없다’는 윤석열정부의 입장을 지지했다. 우 위원장의 발언이 외교에는 여야가 없음을 보여주는 긍정적 선례가 되길 바란다.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면, 한·미 동맹의 확장억지력은 강화될 수밖에 없다. 동북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중국은 ‘사드 3불’을 압박하기보다 북핵 억제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해야 한다.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법무부, 시행령으로 檢수사범위 복원… 野 강력 반발
- 사라진 아이는 어디에… 구미 3세 여아 사건, 원점으로
- ‘서초동 현자’ 선택 진짜 현명했다…‘신림동 펠프스’는?
- “그라인더로 방범창 갈았다” 아찔했던 반지하 탈출기
- “이 나쁜 X” 시어머니 우산 맞은 이은해, 말없이 응시만
- 치킨 시켰더니 담배 튀김이…논란 되자 “폐업하겠다”
- “그땐 의리라 생각” 르세라핌 탈퇴 3주만 입 연 김가람
- 결혼식서 ‘형부와 불륜’ 신부에 복수극, SNS 역주행 [영상]
- 폭우 한강뷰에 “자전거 못 타겠다”…논란된 정동원 글
- 청년대변인 발탁 박민영 일베 의혹… “동생이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