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중국 '선시' 표현 수정에 "사드가 걸림돌 돼선 안 된다는 인식 기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외교부가 한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3불(不)·1한(限)' 정책을 '선서'(宣誓)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이후 '널리 알린다'는 뜻의 '선시'(宣示)로 고친 것과 관련해 우리 외교부는 "사드가 양국 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이 '합의'나 '약속'이란 표현보다 약한 '선시'라는 표현을 쓴 것은 자신들도 (사드 3불-1한이) 합의나 약속이 아니란 점을 인정하면서 나름의 태도 변화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이 한국 측 반응 보고 바꿨을 수도
"中도 합의·약속 아니란 점 인정한 것"
중국 외교부가 한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3불(不)·1한(限)’ 정책을 ‘선서’(宣誓)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가 이후 ‘널리 알린다’는 뜻의 ‘선시’(宣示)로 고친 것과 관련해 우리 외교부는 “사드가 양국 관계 발전에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이 사안에 대해 중국 측과 적극적으로 필요한 소통을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른바 ‘사드 3불’은 사드를 추가 배치하지 않고,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시스템 및 한·미·일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한(限)’은 경북 성주에 이미 배치된 사드의 운용 제한을 뜻한다.
‘선서’는 대외적 공식 약속이라는 뉘앙스가 강한 반면, ‘선시’는 입장을 널리 표명했다는 뜻에 가깝다.
‘선서’와 ‘선시’가 중국어로는 발음과 성조가 같아 중국 측이 이를 혼동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 당국자는 “중국어는 성조가 같은 한자가 여러 개 있어 이런 일은 늘 일어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양쪽 모두 (사드가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동인식 취지에 입각해 이번 사안을 다루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 측이 ‘선서’라고 표현한 데 대한 한국 내 반응을 살펴본 뒤 표현을 수정했을 수 있다는 취지로도 읽힌다.
외교부는 ‘선시’라는 표현이 그간 중국이 ‘약속’이나 ‘합의’라고 했던 것과 상당히 거리가 있는 표현으로 해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이 ‘합의’나 ‘약속’이란 표현보다 약한 ‘선시’라는 표현을 쓴 것은 자신들도 (사드 3불-1한이) 합의나 약속이 아니란 점을 인정하면서 나름의 태도 변화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왕원빈 대변인의 전날 브리핑 질의응답록에 “한국 정부는 대외적으로 3불·1한의 정책 선서를 정식으로 했고…”라고 기재했다가 이를 이후 “정책 선시”로 수정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단독] 이준석, ‘주호영 만날 의향 있나’ 질문에 “지방 체류 중입니다”
- 김정은, 코로나 감염됐었나…김여정 “고열 심히 앓은 원수님”
- 청년대변인 발탁 박민영 일베 의혹… “동생이 작성”
- “이 물난리에”… 미추홀구 의원들 단체로 제주 연수
- 폭우 한강뷰에 “자전거 못 타겠다”…논란된 정동원 글
- 민주당, 강령서 ‘소득주도성장’ 뺀다…文정부 지우기 나서나
- 이재명의 對윤석열 전략… 정책은 때리고 대화는 제안
- 조심해, 빠지면 죽는다… 지뢰밭 맨홀, 서울에만 62만개
- 강남 도로 나뒹군 페라리·벤틀리…내 차 보험료 오를까
- 뻥 뚫린 맨홀 지킨 시민, 알고보니 ‘배달라이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