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연평해역에 어린 참조기 30만 마리 방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천시는 11일 풍부한 수산자원 확보와 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옹진군 연평도 해역에 어린 참조기 30만 마리를 방류했다.
최경주 인천시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이번에 방류하는 참조기 등 인천해역에서 어획되는 고부가가치 지역 특산품종의 지속적인 방류를 통해 인천 관내 해역의 수산자원을 늘리고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시는 11일 풍부한 수산자원 확보와 어업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옹진군 연평도 해역에 어린 참조기 30만 마리를 방류했다.
이번에 방류한 어린 참조기는 올해 5월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에서 분양받은 수정란을 입식해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어패류양식장에서 80일 동안 사육한 것으로 병성감정기관의 전염병 검사를 통해 건강한 종자로 판정받은 전장 7~9㎝의 우량 종자들이다.
농어목 민어과 어류인 참조기는 제사상이나 명절 차례상에 빠지지 않던 우리나라 대표 생선으로 우리나라의 서남해, 중국에서 대만의 연해에도 분포하며, 길이는 최대 50㎝까지 자라고 수심이 40~200m의 바닥이 모래나 뻘로된 연안에서 서식한다. 겨울철에는 월동을 위해 제주도까지 이동했다가 근해에서 해류를 따라 회유하며 성장하고, 산란을 위해 연평도 해역으로 북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어린 참조기 방류 이후에는 관련 기관을 통해 방류 수역에 어구 제한 및 포획 금지 기간 설정을 권고하고 어업인과 낚시인에게 지도, 단속을 병행해 방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인천시 수산자원연구소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면 해역에 참조기 261만2000마리를 방류했다. 올해는 꽃게 95만 마리, 주꾸미 52만2000마리, 갑오징어 17만1000마리를 방류했으며, 추가로 꽃게 100만 마리, 바지락 60만 마리, 참담치 15만 마리 방류해 총 360만 마리의 우량 종자를 방류할 예정이다.
최경주 인천시 수산자원연구소장은 “이번에 방류하는 참조기 등 인천해역에서 어획되는 고부가가치 지역 특산품종의 지속적인 방류를 통해 인천 관내 해역의 수산자원을 늘리고 어업인 소득 증대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결혼식서 ‘형부와 불륜’ 신부에 복수극, SNS 역주행 [영상]
- “기생충 ‘반지하’의 비극” “강남 물난리는 아이러니”
- 尹 “세식구 잃은 반지하서 못살지…할머니에 공공주택”
- 폭우 한강뷰에 “자전거 못 타겠다”…논란된 정동원 글
- 차 빼달라 했다고… “저질 XX야, 내 딸 교수야” 모욕
- “이 물난리에”… 미추홀구 의원들 단체로 제주 연수
- 뻥 뚫린 맨홀 지킨 시민, 알고보니 ‘배달라이더’였다
- “서울 물난리” 전한 외신…다시 언급된 ‘banjiha’
- ‘노아의 방주 급’…강남 물난리 속 홀로 멀쩡한 이 곳 [영상]
- 맨홀에 남매가 ‘쑥’… 블랙박스에 찍힌 서초동 실종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