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휘 증손 등 국외 독립유공자 후손 32명 방한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보훈처는 광복절을 맞아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에서 16명, 카자흐스탄에서 16명 등 총 32명의 후손이 참가한다.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행사는 광복 50주년이던 1995년 시작해 최근 열린 2019년까지 20개국 894명이 참가했다.
이번에 방한하는 후손들은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독립기념관 방문, 비무장지대(DMZ) 안보 체험 등의 일정에 참가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충원 참배·독립기념관 방문 등 일정
국가보훈처는 광복절을 맞아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에서 16명, 카자흐스탄에서 16명 등 총 32명의 후손이 참가한다.
11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래 3년 만에 열리는 이번 행사는 12∼18일 진행된다.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행사는 광복 50주년이던 1995년 시작해 최근 열린 2019년까지 20개국 894명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총리로 활동한 이동휘 선생의 증손 강 이고르 씨와 베케노바 아이게림 씨, 안중근 의사 의거를 지원한 최재형 선생의 증손 박 타티아나 씨와 한 보리스 씨가 카자흐스탄에서 온다. 대한부인구제회에서 독립운동 자금 모금에 앞장선 김노디 지사의 외손녀 노디 남바 하다르 씨와 앤 유리 남바 씨는 미국에서 한국을 찾는다.
이번에 방한하는 후손들은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독립기념관 방문, 비무장지대(DMZ) 안보 체험 등의 일정에 참가한다. 독립기념관에서는 선조들의 사료를 찾아 해당 후손들에게 보여주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한다.
이들은 15일 광복절에 제77회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 뒤 상해임시정부의 국내 근거지였던 진관사를 방문한다. 16일에는 국립한글박물관에서 한글과 한복을 체험하고, 마지막 날인 17일 DMZ 방문 이후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주관 환송 만찬이 있을 예정이다.
박 처장은 “독립유공자 후손분들을 선열들의 피·땀·눈물로 쟁취한 광복된 조국, 번영된 대한민국으로 모셔서 매우 뜻깊다”며 “국민은 물론 재외 교포들도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결혼식서 ‘형부와 불륜’ 신부에 복수극, SNS 역주행 [영상]
- “기생충 ‘반지하’의 비극” “강남 물난리는 아이러니”
- 尹 “세식구 잃은 반지하서 못살지…할머니에 공공주택”
- 폭우 한강뷰에 “자전거 못 타겠다”…논란된 정동원 글
- 차 빼달라 했다고… “저질 XX야, 내 딸 교수야” 모욕
- “이 물난리에”… 미추홀구 의원들 단체로 제주 연수
- 뻥 뚫린 맨홀 지킨 시민, 알고보니 ‘배달라이더’였다
- “서울 물난리” 전한 외신…다시 언급된 ‘banjiha’
- ‘노아의 방주 급’…강남 물난리 속 홀로 멀쩡한 이 곳 [영상]
- 맨홀에 남매가 ‘쑥’… 블랙박스에 찍힌 서초동 실종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