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서 일본 뇌염 바이러스 첫 확인..모기 조심 당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구에서 일본 뇌염을 바이러스가 확인돼 시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일 동구 소재 우사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일 채집된 모기 중 주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아닌 빨간집모기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가 검출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에서 일본 뇌염을 바이러스가 확인돼 시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일 동구 소재 우사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원은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를 위해 4월부터 10월까지 주 2회 모기를 채집해 종별 분포조사와 일본뇌염을 비롯한 5종의 모기 매개 병원체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1일 채집된 모기 중 주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아닌 빨간집모기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가 검출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빨간집모기는 우리나라의 가정집에 활동하는 모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종으로 일본뇌염, 웨스트나일열을 전파할 수 있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다수 확인돼 질병관리청이 지난 7월 23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99% 이상은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 감염자는 급성 신경계 증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뇌염은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이 높다.
고복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모기는 종에 따라 일본뇌염 외에도 말라리아 등의 여러 감염병을 매개할 수 있으므로 모기 회피와 방제 요령을 숙지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기생충 ‘반지하’의 비극” “강남 물난리는 아이러니”
- 尹 “세식구 잃은 반지하서 못살지…할머니에 공공주택”
- “이 물난리에”… 미추홀구 의원들 단체로 제주 연수
- 폭우 한강뷰에 “자전거 못 타겠다”…논란된 정동원 글
- 차 빼달라 했다고… “저질 XX야, 내 딸 교수야” 모욕
- 뻥 뚫린 맨홀 지킨 시민, 알고보니 ‘배달라이더’였다
- “서울 물난리” 전한 외신…다시 언급된 ‘banjiha’
- ‘노아의 방주 급’…강남 물난리 속 홀로 멀쩡한 이 곳 [영상]
- 맨홀에 남매가 ‘쑥’… 블랙박스에 찍힌 서초동 실종 비극
- 강남역 맨홀 바퀴벌레 출몰 영상… 구청 “민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