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새 뇌관으로 부상하는 '대만정책법'

박재현 2022. 8. 9. 04: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이어 이번에는 대만을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 인정하는 내용의 '2022 대만정책법'이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만정책법이 처리될 경우 미·중은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는 만큼 백악관에서는 위기관리 차원에서 의회 입법을 미루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맹국 지정 및 지원이 골자
美 상원에 계류.. 수정 고려
中, 8일에도 海·空 합동훈련
중국의 대만 포위 군사훈련 이틀째인 5일 중국 군함이 대만에 가장 가까운 푸젠성 핑탄섬 앞바다를 항해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이어 이번에는 대만을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 인정하는 내용의 ‘2022 대만정책법’이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만정책법이 처리될 경우 미·중은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는 만큼 백악관에서는 위기관리 차원에서 의회 입법을 미루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7일(현지시간)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백악관은 미·중 간 고조되고 있는 분위기를 감안해 대만정책법을 수정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이 법안은 대만을 동맹국으로 지정하고 향후 4년간 35억 달러(5조9000억원) 규모의 안보 지원과 국제기구 및 다자무역협정에 참여할 수 있는 외교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민주당 소속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과 공화당의 린지 그레이엄 상원 의원이 공동 추진하고 있다.

대만정책법은 현재 상원에 계류 중이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이 아닌 국가 중에서 주요 동맹국으로 대만을 지정하는 내용이 핵심인 만큼 언제든 미·중 간 갈등에 불을 붙일 수 있는 사안이다.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고 대만과 단교하면서 대만관계법을 제정한 바 있다. 그동안 미국은 대만에 자기방어 수단을 제공할 근거를 해당 법을 통해 마련하는 선에서 양측과 관계를 맺으며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 왔다.

하지만 대만정책법이 통과된다면 사실상 대만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중국의 반발은 불가피하다. 미국이 대만을 중국 영토로 인정하는 대신 중국은 대만 정부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이 전면 폐기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국가안보회의(NSC) 차원에서 일부 법안 내용에 대한 수정을 시도하고 있고, 의회 내부적으로도 미·중 갈등 격화 이후 법안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기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백악관은 이 법안이 미·중 관계의 위험한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여긴다”며 “백악관이 법안 통과를 막기 위해 민주당 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법안은 지난 3일 미 외교위원회에서 처리될 예정이었지만 핀란드와 스웨덴의 나토 가입 승인 표결로 일정이 연기됐다. 메넨데스 위원장은 “일정 연기로 법안을 다듬을 여지가 생겼다”고 밝혔다. 반면 공화당을 중심으로 지나친 중국 눈치보기라는 강경 기류가 여전하다. 공화당 소속 짐 리시 상원 의원은 “백악관은 이미 대만 정책을 충분히 훼손해 왔다”며 “백악관이 법안 처리 과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미·중 간 군사적 긴장도 여전하다. 중국은 대만 포위 군사훈련을 7일 종료했지만 이튿날인 8일에도 대만 주변 해상과 공중에서 실전 합동훈련을 이어갔다. 우첸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현재 대만해협의 긴장 국면은 미국이 주도적으로 도발하고 일방적으로 만든 것”이라며 “미국은 반드시 이에 대한 모든 책임과 심각한 결과를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