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 '이 영양소' 부족하면, 이곳저곳 염증 생겨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2022. 8. 8. 14: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체내 비타민D가 부족하면 만성 염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29만4970명을 대상으로 혈액 속 비타민D와 만성 염증 지표인 C-반응성 단백 농도를 측정했다.

연구 저자인 앙 저우 박사는 "이 연구는 만성 염증이 생길 때 간에서 만들어지는 C-반응 단백질과 비타민D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다"며 "비타민D 결핍증인 사람들은 이를 보충해줘야 만성 염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체내 비타민D가 부족하면 만성 염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체내 비타민D가 부족하면 만성 염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29만4970명을 대상으로 혈액 속 비타민D와 만성 염증 지표인 C-반응성 단백 농도를 측정했다. 비타민 D와 C-반응성 단백 사이 연관성은 '멘델리안 무작위 분석법(Mendelian Randomization)'을 사용해 분석했다. 멘델리안 무작위 분석법은 특정 유전 인자를 가진 개인과 가지지 않은 개인을 비교해, 해당 인자가 질병의 원인이라 볼 수 있는지 판별하는 기법이다.

분석 결과, 비타민D 농도가 25nmol/L인 사람은 50nmol/L인 사람보다 C-반응 단백질 수치가 6.4% 더 높았다. 또한 비타민D 농도가 가장 낮을 때 C-반응 단백질 수치가 가장 높았다.  반면, 비타민D 농도가 높아지면 따라 C-반응 단백질 수치는 급격히 감소했다. 비타민D 농도가 50nmol/L이상이 되면 C-반응 단백질 수치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연구 저자인 앙 저우 박사는 "이 연구는 만성 염증이 생길 때 간에서 만들어지는 C-반응 단백질과 비타민D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다"며 "비타민D 결핍증인 사람들은 이를 보충해줘야 만성 염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비타민D는 햇빛을 쬐면 체내에서 합성돼 적극적으로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타민D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D가 풍부한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연어·참치·고등어 등 생선, 계란 노른자, 유제품, 햇빛에 말린 버섯 등이 있다.

이 연구는 '국제 역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에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