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있으면 백신 맞아도 코로나 돌파감염 위험"

김수진 2022. 8. 8. 11: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류마티스관절염, 루프스, 강직척추염, 베체트병 등의 류마티스 질환이 있으면 코로나 19 감염시 사망률이 높은 편이라 예방접종이 권장되는 편이다.

그러나 류마티스 질환자는 부스터 접종(3차 접종)을 해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이 충분하지 않다는 연구가 나왔다.

3차 접종을 하더라도 류마티스 질환자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이 낮았던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대병원 연구팀, 유럽류마티스학회지 논문 발표

[한국경제TV 김수진 기자]

류마티스관절염, 루프스, 강직척추염, 베체트병 등의 류마티스 질환이 있으면 코로나 19 감염시 사망률이 높은 편이라 예방접종이 권장되는 편이다.

그러나 류마티스 질환자는 부스터 접종(3차 접종)을 해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이 충분하지 않다는 연구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최성호·정진원 교수와 류마티스내과 최상태 교수 연구팀이 최근 유럽류마티스학회지(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최신호에 게재한 성과다(논문 제목 SARS-CoV-2 Omicron escapes mRNA vaccine booster-induced antibody neutralisation in patients with autoimmune rheumatic diseases: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연구팀은 코로나19 부스터 백신(mRNA 종류인 화이자·모더나 백신)을 맞은 건강한 의료인 94명과 면역억제제나 항류마티스 치료를 받고 있는 류마티스 질환 환자 149명의 혈청을 수집했다. 수집한 혈청으로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중화 항체 반응과, 중화 항체 반응과 돌파 감염 발생의 관계를 조사했다.

3차 백신 부스터 접종 후 기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은 의료인이 97.2%, 류마티스 질환자가 88.1%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은 의료인이 50.3%, 류마티스 질환자는 26.8%였다.

3차 접종을 하더라도 류마티스 질환자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이 낮았던 셈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3차 접종의 효과는 감소하는데,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 항체 반응은 하루 0.351%씩 감소한다고 조사됐다.

연구팀은 중화 항체 반응과 돌파 감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에 참여한 류마티스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오미크론 돌파 감염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돌파 감염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중화 항체 반응이 낮게 측정됐다.

정진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면역억제제나 항류마티스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류마티스 질환 환자는 부스터 접종만으로는 오미크론 돌파 감염을 예방하기 쉽지 않으므로 기존 백신을 한 번 더 맞거나(4차 접종) 변이 바이러스를 타겟으로 한 새로운 백신 접종이 필요할 것”이라며 “류마티스 질환 환자처럼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백신 효과 연구 및 새로운 백신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수진기자 sjpe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