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당365] 당뇨 환자, 골절 위험 큰데.. '이것' 꼭 드세요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2022. 8. 8. 08: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혈당은 뼈를 약하게 만듭니다.

당뇨 환자의 높은 혈당은 뼈에 영향을 미쳐 골절 위험을 높입니다.

참여자들을 당뇨 환자와 일반인으로 나눠 골절 발생 위험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2형 당뇨 환자는 일반인보다 골절 위험이 74% 더 높았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헬스조선DB

고혈당은 뼈를 약하게 만듭니다. 당뇨 환자는 그래서 골절을 조심해야 합니다.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오늘의 당뇨레터 두 줄 요약

1. 비타민D가 당뇨로 약해진 뼈 튼튼하게 합니다.
2. 과도한 복용은 금물입니다.

당뇨환자 골절 위험 커

당뇨 환자의 높은 혈당은 뼈에 영향을 미쳐 골절 위험을 높입니다. 서울성모병원과 여의도성모병원 연구팀이 2009~2016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성인 654만8784명을 분석한 연구가 있습니다. 참여자들을 당뇨 환자와 일반인으로 나눠 골절 발생 위험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2형 당뇨 환자는 일반인보다 골절 위험이 74% 더 높았습니다.

미국에서 노인 당뇨 환자 793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더니,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환자는 그 이하 수치인 환자에 비해 골절 위험이 두 배 이상으로 높았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고혈당 자체만으로도 위험한데, 당뇨 합병증을 앓으면 문제는 더 심각합니다. 시력이 떨어지거나(당뇨병성 망막병증) 팔다리가 저리고 운동 기능이 저하되면(당뇨병성 신경병증) 넘어질 위험이 크고, 이는 골절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비타민D로 해결

그렇다면, 당뇨 환자가 골절을 막기 위해 뭘 해야 할까요? 일본 기타큐슈 직업환경보건대 연구팀이 2013~2019년 사이 당뇨 전 단계인 성인 1256명을 분석했습니다. 참여자들은 하루에 한 번 비타민D를 복용한 그룹(630명)과 하루에 한 번 위약을 복용한 그룹(626명)으로 나뉘었습니다. 분석 결과, 비타민D를 섭취한 참여자의 허리, 목, 허벅지의 골밀도가 위약을 섭취한 참여자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비타민D는 섭취 후 따로 배출되지 않고 몸속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입니다. 간에 저장된 비타민D는 매일 필요한 만큼만 혈액으로 배출돼 조직 세포에서 활성화되는데요. 활성화된 비타민D는 몸 속 칼슘과 인 흡수를 촉진해 뼈를 튼튼하게 해줍니다. 비타민D를 섭취하면 몸 속 주요 뼈 단백질인 오스테오칼신이라는 성분의 함량도 높아집니다. 오스테오칼신은 칼슘과 인의 농도를 조절해 골격근을 강화하는 호르몬인데요. 비타민D가 오스테오칼신의 합성과 분비를 촉진하는 겁니다.

과복용은 금물

비타민D의 하루 권장량은 400~800IU입니다. 비타민D 수치 검사 후, 부족한 환자의 경우 하루 1000IU까지 보충하기를 권장합니다. 다만 과다 복용은 유의하셔야 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는 “비타민D 과다 복용 시, 칼슘과 인 수치가 과도하게 오르고 부갑상선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며 “주사제로 고용량 비타민D를 맞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땐 하루 최대 5000IU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비타민D는 햇볕을 쫴 피부를 통해 합성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 신체의 15~20% 정도를 햇볕에 20여분 노출시키세요. 다만, 지금처럼 한낮 온도가 높은 때에는 열사병 위험이 있으므로 피하셔야 합니다. 연어, 고등어 등 생선이나 말린 버섯, 유제품 등을 통해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