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키워 먹는다..'베란다 텃밭족' 급증

김현경 2022. 8. 7.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폭염과 장마 등의 영향으로 최근 채솟값이 크게 오르자 집안에서 채소를 직접 키워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7일 G마켓에 따르면 최근 한 달(7.4∼8.3)간 텃밭 가꾸기 관련 상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배추 가격이 1년 새 72.7%나 뛴 가운데 오이(73.0%), 시금치(70.6%), 상추(63.1%), 파(48.5%) 등 식탁에 자주 오르는 대부분의 채소류 가격이 폭등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솟값 급등하자 텃밭 가꾸기 상품 불티

[한국경제TV 김현경 기자]

폭염과 장마 등의 영향으로 최근 채솟값이 크게 오르자 집안에서 채소를 직접 키워 먹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7일 G마켓에 따르면 최근 한 달(7.4∼8.3)간 텃밭 가꾸기 관련 상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씨앗과 모종 판매량은 41% 증가했는데 특히 값이 뛴 대파(77%)와 쪽파(420%), 상추(42%), 배추(13%) 등이 잘 팔렸다.

미니화분은 35%, 삽이나 호미는 13% 판매량이 각각 늘었고 전지가위(21%)와 식물 영양제·비료(8%), 식물 지지대(14%) 판매도 늘었다.

홈 가드닝 소품 판매량은 183%나 늘었고, LED 등을 장착해 가정에서 손쉽게 식물을 키울 수 있게 해주는 재배기(650%)와 수경재배기(60%)도 인기였다.

텃밭 가꾸기 제품이 이처럼 잘 나간 것은 채솟값이 천정부지로 뛰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농산물 물가는 지난해 동기보다 8.5% 상승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6.3%)을 웃돌았다. 특히 채소류의 가격 상승률이 25.9%로 높았다.

배추 가격이 1년 새 72.7%나 뛴 가운데 오이(73.0%), 시금치(70.6%), 상추(63.1%), 파(48.5%) 등 식탁에 자주 오르는 대부분의 채소류 가격이 폭등했다.

외식물가는 1년 전보다 8.4% 뛰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