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맛이 달라졌다

이다니엘 2022. 8. 5. 20: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매운 맛'을 팀 컬러로 삼은 농심의 올여름은 밋밋했다.

당시 농심은 로스터 상 네임벨류에 연연하지 않는 화끈한 경기력으로 젠지, T1 등 쟁쟁한 팀들을 제치고 마지막까지 담원 기아와 선두 경쟁을 했다.

차차 분위기가 달라지는 듯 했지만 추락한 팀 순위를 끌어올리기엔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농심 1군 팀은 선수 전원이 올해까지 계약이 잡혀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CK 제공

‘매운 맛’을 팀 컬러로 삼은 농심의 올여름은 밋밋했다. 무더위가 채 절정에 다다르기 전에 차게 식고 말았다. 지난해 대비 큰 아쉬움이 남는다.

농심은 5일 서울 종로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2 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시즌 정규 리그 2라운드 경기에서 DRX에 세트스코어 1대 2로 패했다.

이날 첫 세트에서 패하면서 농심은 세트 득실 상 따라잡을 수 없는 차이가 발생해 플레이오프(6위권) 진출이 좌절됐다. 지난해 여름 끈끈한 팀워크로 정규 시즌을 2위로 마감한 것과 크게 비교되는 결과물이다. 당시 농심은 로스터 상 네임벨류에 연연하지 않는 화끈한 경기력으로 젠지, T1 등 쟁쟁한 팀들을 제치고 마지막까지 담원 기아와 선두 경쟁을 했다. 12승 6패로 득실에서 뒤진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롤드컵 티켓을 코앞에서 놓친 농심은 올해 더 높은 곳을 바라보며 대대적인 리빌딩을 단행했다. 선수 영입에 지출한 투자금은 전년과 비교해 몰라보게 커졌다. 하지만 선수들은 모래알 조직력을 노출하며 맥없이 쓰러졌다. 뜨거운 맛을 채 내기 전에 끓던 물이 식은 인상이다. 중심을 잡고 팀을 이끌 오더가 없던 탓이다.

LCK 제공

결국 스프링 시즌을 8위로 마치고 지도자를 교체했다. 서머 시즌 중간엔 ‘눈꽃’ 노희종을 영입하며 반전을 꾀했다. 차차 분위기가 달라지는 듯 했지만 추락한 팀 순위를 끌어올리기엔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시즌 3경기를 남겨둔 상황에서 12패를 쌓으며 프레딧 브리온, 한화생명e스포츠와 함께 ‘3약’에서 허덕이고 있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일 뿐이다.

농심 1군 팀은 선수 전원이 올해까지 계약이 잡혀있다. 다시금 큰 폭의 로스터 변동이 불가피하다. ‘앞을 가로막는 모든 장벽에 맞선다(against all)’며 월즈의 꿈을 품은 이들의 이른 퇴장이 꽤나 쓸쓸해 보인다.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