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전쟁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국제유가, 기름값·인플레 잡을까

정동훈 2022. 8. 4. 11: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TI·브랜트유 6개월만에 최저치
원자재 가격 상승·인플레에 긍정적
러 자원 무기화·미중 갈등 위험은 여전

국제유가가 글로벌 경기의 위축 우려 속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유가 하락세가 국내 유통가에 반영되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상황도 안정세를 보일 수 있다. 다만 러우 전쟁과 더불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하는 등 지정학적 위험은 외려 다극화하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어 산업계의 위기감은 쉽사리 가시지 않고 있다.

◆러우-전쟁 이전으로 회귀한 국제유가=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서부 텍사스산 원유) 9월 인도분은 배럴당 3.50달러(3.71%) 내린 90.92달러(약 11만 8914원)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2월 10일 이후 최저치다. 같은날 브랜트유 선물은 3.7% 하락한 96.78 달러(약 12만6578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2월 21일 이후 최저치다.

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전 수준으로 국제유가가 회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WTI 가격(배럴 기준)은 전쟁이 일어난 올해 2월24일에 92.81달러를 보이다 2주만에 130.5달러까지 치솟았다. 불과 한달전(7월4일)까지 110달러 수준을 보이던 유가는 올해 하반기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며 전쟁 이전까지 내려온 것이다.

특히 이날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가 9월 원유 증산량을 하루 10만배럴로 소폭 올리며 유가의 재상승 우려가 컸다. 이는 7월과 8월 각각 하루 64만 8000배럴씩 증산했던 것과 비교하면 그 속도가 더 늦어진 것이다. 앞선 두 달의 약 15%에 불과하다. 현재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대임에도 세계 1위 산유국인 미국을 제외한 대다수 산유국들이 공급량을 더 줄이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글로벌 수요 감소 우려와미국의 원유재고가 늘었다는 소식에 전쟁 발발 전 수준까지 내려간 것이다.

◆경기침체 우려가 식힌 고유가…인플레도 진정시킬까=유가 하락은 경기 위축에 추세를 타고 있다. 당장 중국과 미국의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오고 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7월 중국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4를 기록해 6월의 51.7에서 하락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7월 제조업 PMI는 49를 기록해 50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제조업 경기가 위축세로 돌아섰음을 시사한다. 중국 제조업 PMI는 지난 6월에 50.2를 기록하며 넉 달 만에 확장세로 돌아섰으나 다시 반등 한 달 만에 위축세로 돌아선 것이다.

미국의 제조업 지표도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S&P 글로벌이 집계한 7월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52.2로 2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고,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7월 미국 제조업 PMI도 52.8로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올해 산업계와 가계를 뒤흔든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 됐던 것이 유가다. 유가 안정세는 그 자체로 희소식이다.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9시 기준 전국 휘발유가격 평균은 ℓ당 1869.48원, 경유는 1927.90원을 보이고 있다.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6월말 각각 2140원대와 2160원대를 보이며 정점을 찍은 후 내려오는 추세다.

다만, 국제유가의 하락세가 러시아의 자원무기화, 미중 갈등 등 지정학적 위험으로 재차 상승을 보일 수 있는 위험은 여전하다. 또한 최근의 경제 상황을 ‘복합위기’라고 규정하는 데에서 볼 수 있듯이 환율, 금리 등 기업과 가계의 경제 상황을 위협하는 요인이 산재해 있는 상황에서 유가의 일시적 하락만을 두고 긍정적으로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유가의 하락이 있지만, 전반적인 가격 수준 자체는 예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에너지 가격을 중심으로 한 수입물가 상승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상을 통한 유동성 회수 등의 조치는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