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가기 겁나네..8대 외식품목 싹 다 올랐다

조현숙, 정진호 2022. 8. 4. 00: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옥수수·밀 등 국제곡물에 이어 국내 농축산물 가격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외식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난 2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 가격 인상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서울 동작구에서 양식집을 운영하는 장모(30)씨는 지난달 메뉴판을 새로 찍었다. 테이블마다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종이 메뉴판을 사용하는데 최근 원재료 상승 부담이 커지자 가격을 1000~2000원씩 올리는 식으로 메뉴판을 바꿨다. 그는 “와인은 20%에서 최대 2배까지 가격이 올랐고, 계란이나 밀가루가 들어가는 빵·파스타는 계속 비싸지는 상황”이라며 “올해 초부터 올리고 싶었지만, 손님이 줄까 봐 참았는데 한계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의 ‘메뉴판 갈이’가 본격화하면서 외식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국제곡물에 이어 농축산물 가격까지 줄줄이 오른 여파다. 3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8대 외식품목의 서울 지역 7월 평균가격은 전달에 비해 하나도 빠짐없이 높아졌다. 국민 실생활에 밀접한 외식메뉴 8가지를 지정한 것으로, 자장면·냉면·칼국수·김밥·김치찌개백반·비빔밥·삼겹살·삼계탕 등이다.

외식품목의 평균가격을 처음 공표한 건 2014년 2월이다. 이후 매달 조사를 거쳐 공개해왔는데 한 달 새 모든 외식품목의 가격이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물가가 비교적 안정됐던 2020년만 해도 가격의 변화가 없거나, 한 두가지 품목만 제한적으로 오르곤 했다.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지난달 서울 기준 자장면 가격은 평균 63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5462원)보다 15.3% 상승했다. 칼국수는 지난달 서울에서 평균 8385원에 팔려 같은 기간 상승률이 12.4%에 달했다. 9.3% 상승한 삼계탕(1만5385원), 8.8% 오른 냉면(1만423원)이 뒤를 이었다. 값싸게 한 끼 해결할 수 있는 대표 서민 음식인 김밥의 경우 8.7%가 오르면서 2969원으로, 3000원대 진입을 앞뒀다. 국제곡물 가격 인상으로 인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가루를 많이 쓰는 외식품목의 인상률이 특히 높았다.

실제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외식 물가는 1년 전보다 8.4% 올랐다.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이게 전부가 아니다. 공공요금발(發) 물가 상승 충격은 8월 이후 본격화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전기·가스·수도 같은 공공요금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달 106.48(2020년=100)로 1년 전과 비교해 15.7% 올랐다. 하지만 바로 한 달 전인 6월과 비교했을 때 양상은 크게 다르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6월과 견줘 1.1% 오히려 하락했다. 공공요금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전기료가 전월 대비 8.5% 내리면서다.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지난달 1일을 기점으로 전기요금을 인상했는데도 관련 물가가 역주행을 한 건 여름철 한시로 시행하는 누진제 완화 덕이다. 전력 사용 구간에 따라 세부 금액 차이는 있지만, 요금 부담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효과가 난다. 하지만 이 혜택은 8월이면 끝이다. 여기에 10월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추가 인상도 예고돼 있다.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10월 전기료 추가 인상이 예정된 가운데 누진 구간 완화 종료에 따른 영향이 더해져 물가 상방 압력은 더욱 강해질 전망”이라고 했다.

세종=조현숙·정진호 기자 newea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