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이어 농산물·외식마저..물가상승률 2달째 6%대
6.3%.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23년 8개월 만이다. 6월(6.0%)에 이어 2달 연속으로 물가상승률이 6%대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물가가 6%대 오른 것 자체가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면서 고물가 기조가 이어졌던 MB 때도 최대 5%대였다.
23년 8개월 만 최고 상승률
농산물발 물가 폭풍까지 덮쳐
그런데도 소비자물가가 되레 오른 건 농산물이라는 변수 때문이다. 농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5% 올랐다. 특히 채소류 상승률이 25.9%로 높았다. 오이(73%), 배추(72.7%), 시금치(70.6%) 등 가정집 식탁에 일상적으로 올라오는 식재료들이 일제히 2배 가까이 뛰었다. 봄철 가뭄이 지났지만, 폭염과 함께 비까지 자주 내리면서 농산물발(發) 물가 폭풍이 현실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공요금 상승률 역대 최대
밥상에 올라오는 농축산물이나 외식가격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더 가파르게 오른 만큼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 먹거리 소비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7.9%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기‧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여파도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7% 올랐다. 2010년부터 공공요금 물가 조사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지난달 들어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인상된 데다 코로나19 당시 일시 감면했던 지역 상수도 요금까지 다시 올라간 탓이다.
올가을 물가 정점 찍나
정부는 물가의 정점을 9~10월로 예상한다. 전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나와 “대외요인에 추가적인 돌발 변수가 없는 한 9~10월이 정점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도 "그동안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대외 요인들이 다소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다음 달은) 6%대 이하로 가진 않겠지만 7%대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했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1800원대에 진입했다”며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는 등 긍정적 신호가 일부 관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가을을 정점으로 예견했을 뿐, 물가가 당장 과거 수준으로 내려간다는 뜻은 아니다. 오름폭은 다소 꺾이겠지만, 물가 자극 요소가 여전한 만큼 예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물가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대해 통계청은 5%가 넘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날 이환석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당분간 6%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양상,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 추이, 여름철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영우 '장애인 찐사랑' 현실선...관계 후 만원 주며 "과자 사라"
- "자칫하면 죽는다"…동해 수영하다 따끔, 수돗물 위험한 이유
- '비키니 오토바이' 발칵 뒤집은 유튜버 "처벌? 신경 안 쓴다"
- "급해서 그랬다" 무인 인형뽑기방에 대변 보고 튄 여성 찾아냈다
- 친구 뺨 때린뒤 "아파? 아이고 예쁘다"…광주 중학생 집단폭행
- 배달청년 죽게한 촉법소년들, 이번엔 라이터로 중학생 지졌다
- CNN, 영원히 안늙는 그녀에 경고..."성형 1번지 한국, 우려된다"
- 남성 몸 만지며 "굵고 단단하네"…홍성군 희한한 '마늘 홍보'
- 그래미상 못받은 BTS, 인종차별 탓인줄 알았는데…착각이었다
- '펠로시 대만행' 중국 왜 긴장하나...31년 전 악몽 '천안문 추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