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국 후 처음으로 인구 줄었다

정진호 2022. 7. 29.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인구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수립된 이후 공식적으로 인구를 처음 집계하기 시작한 게 1949년이다. 이후 매년 인구는 늘었는데 지난해 처음 꺾였다. 인구가 줄었는데 고령층 비중은 또다시 역대 최대에 이르렀다. 전체 인구의 16.8%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다. 1인 가구는 처음으로 700만 가구를 돌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9만1000명(0.2%) 감소했다. 전년 대비 인구가 줄어든 건 72년 만으로,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주민등록통계나 인구동향과 달리 외국인 등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 외국인 유입, 내국인 유출 등도 집계 대상이다.

1인 가구도 첫 700만 돌파 … 전체 가구 수의 3분의1 넘어서

총인구 규모

지난해는 역대 최저인 출산율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까지 겹쳤다. 외국인 유입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 보편적 가구 형태가 변할 날도 멀지 않았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17만6000가구로 전체의 33.4%에 달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70만7000명이다. 1년 전(828만7000명)보다 41만9000명(5.1%) 증가했다. 지난해 고령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8%로 역시 2020년(16.0%)보다 높아졌다. 국민 6명 중 1명은 노인이라는 의미다.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고령인구 구성비가 최근 약 1%포인트씩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4년 내로 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는 3694만4000명으로 전체의 71.4%를 차지했는데 2016년과 비교하면 2%포인트(67만7000명) 줄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고령층 인구인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치솟았다. 현재 생산인구 4명이 1명의 노인을 부양하고 있다는 뜻인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세종=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