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험부터 역사까지 모두 잡은 안동.. 토요일을 주목하세요 [중앙선 역사문화기행]
[최서우 기자]
경상북도 안동 시내에서 동편 안동댐으로 가다보면 낙동강 뒤로 고풍스러운 고택이 있다. 고택은 500년이 넘는 역사가 있는 임청각. 형조좌랑을 지낸 이명이 중종 10년(1515)년에 건립한 주택이다. 그의 후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독립운동가인 석주 이상룡 선생의 탄생지이기도 하다. 임청각 옆으로는 전탑 하나가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 앞에 우뚝 서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인 국보 제16호 법흥사지 칠층전탑이다.
안동댐을 가기 직전에는 야경이 상당히 아름다운 목조 교량이 하나 있는데, 비교적 최근인 2003년에 준공된 월영교다. 여름밤에 월영교를 거닐면 낙동강 변이 시원해서 그런지 산책하는 사람들이 많다. 만약 월영교를 낮에 건너면, 안동 민속촌에 전시된 옛 집들을 감상할 수 있는데, 안동댐을 건설하며 수몰된 지역의 집들을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항일운동의 상징 임청각, 월영교와 민속촌을 안동 시내 동편 낙동강과 함께 파노라마처럼 즐겨보자.
안동 항일운동의 상징 임청각
안동 임청각은 안동시내의 동편에 위치해 있다. 안동댐 방향으로 가다보면 시내에서 나뉘었던 길들이 낙동강을 만나면서 하나로 모이기 시작한다. 길이 모이는 법흥교 고가에서 우측으로 빠지면 고가 아래 북서편으로 빠지는 길이 하나 보이는데, 길을 조금만 가다보면 왼편으로 행랑채가 가득한 고택을 하나 볼 수 있다.
보물 제182호 임청각. 임청각은 형조좌랑을 지낸 이명이 벼슬을 끝내고 1515년에 낙향하여 지은 집이다. 2002년 종손들이 국가에 반환하기까지 무려 500여 년 역사를 간직한 경상남도 고성 이씨의 종가이기도 했다. 대문에는 국무령 이상룡 생가라는 팻말이 있다.
석주 이상룡 선생. 왼편 행랑채로 들어가면, 그가 젊은 시절 명성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으로 참여한 안동의진 의병활동부터 일제의 국권 강탈 이후 일가족을 이끌고 어떻게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는지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다. 만주에서 각기 흩어진 독립운동 조직을 통합하는 데 평생을 바친 그가 1932년 지병으로 타계하며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다.
"나라를 찾기 전에는 내 유골을 고국으로 가져가지 말라."
▲ 임청각 행랑채. 임청각의 역사와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애를 볼 수 있다. |
ⓒ 최서우 |
▲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 |
ⓒ 최서우 |
이상룡 선생의 아들과 손자, 두 동생과 조카들도 조국 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쳤다. 그래서 임청각은 안동에서 오래된 민가집일 뿐만 아니라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대한민국 독립역사의 요람이기도 하다. 일가의 사위집안과 부인, 며느리들도 독립운동에 팔을 걷고 나섰으니,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가족 전체가 대한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군자정. 중앙 돌계단 좌우로 툇마루가 도드라진다. |
ⓒ 최서우 |
▲ 임청각 현판. 퇴계 이황의 글씨다. 천정은 서까래가 드러난 구조다. (2021년 9월 16일 촬영) |
ⓒ 최서우 |
임청각에서 고성 이씨 탑동종택으로 가면 커다란 벽돌탑이 하나 보인다. 낙동강을 바라보는 쪽으로 감실이 하나 보이는데, 의성에서 내가 봤던 탑리석탑과 비슷한 느낌이라고 할까. 하지만 여기는 탑리 것과 달리 벽돌로 그대로 쌓았다. 우리나라에서도 보기 힘든 형태인 법흥사지 칠층전탑이다. 3층과 4층 받침돌에는 기와를 얹어놓은 흔적이 남아 있는데, 학자들은 이를 목탑 양식을 모방한 증거로 보고 있다.
전탑은 일제의 만행으로 훼손된 흔적이 있다.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놓아 옛 흔적을 볼 수 없는 것과 감실에 있던 불상이 1930년 사라진 것. 그나마 다행인 것은 기단에 새겨진 팔부중상과 사천왕상의 부조가 희미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기단 측면에 이렇게 많은 부조를 배치한 예는 거의 없다고.
▲ 국보 제16호 법흥사지 칠층전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전탑이다. 2층과 3층 지붕돌에 기와흔적이 있는데, 이는 목탑의 형식을 번안했음을 보여준다. 석탑은 통일신라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
ⓒ 최서우 |
▲ 기단에 새겨진 팔부중상과 사천왕상. 기단 네 면 모두에 부조로 새겨져 있다. 기단 위에는 일제가 복원을 명분으로 시멘트를 발라버려, 옛 모습을 알 수 없게 되었다. |
ⓒ 최서우 |
임청각에서 안동댐으로 거슬러 가면, 화려한 불빛으로 가득한 목조 다리가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03년에 지은 월영교인데, 안동댐 때문에 시원해서 그런지 수많은 인파들로 가득했다. 월영교 아래에는 개목나루에서 출발한 수많은 색깔로 가득한 달 모양의 보트들로 가득해 아름다운 야경을 선사한다.
목조다리 건너편 산중턱에 조명 위로 기와가 하나 보이는데, 조선시대 사신이나 관리의 숙소로 쓰인 선성현 객사다. 원래는 도산면 서부리에 있었는데, 안동댐 건설로 지역이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 월영교 야경. 다리 건너 저편 조명에 기와 건물이 보이는데, 선성현 객사다. 원래 예안면 서부리에 있었는데, 안동댐 건설로 이전했다. |
ⓒ 최서우 |
▲ 안동민속촌에 전시된 박분섭 까치구멍집. 집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지붕 합각부(合閣部) 양쪽에 '까치집'을 닮은 구멍을 뚫었다. 주로 경북지역에 분포해 있다. (2021년 9월 16일 촬영) |
ⓒ 최서우 |
▲ 청사초롱으로 가득한 2022년 여름 안동 개목나루 풍경 |
ⓒ 최서우 |
독립운동의 산실 안동 임청각과 오늘날 여름 관광객들에게 사랑받는 월영교. 둘을 함께 보니 20세기 초 석주 선생의 조국을 잃은 슬픔으로 시작해서 광복 80년이 지난 후 선진국의 반열에 든 환희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압축해서 보는 느낌이 든다. 물론 그 사이 산업화로 인해 수몰의 사연을 겪은 도산면과 예안면의 역사도 있다.
▲ 임청각 앞을 유유히 흐르는 낙동강. 드디어 옛 중앙선 철로와 방음벽이 걷혔다. 2025년까지 99칸 임청각을 복원한다고 하니 기대해보자. |
ⓒ 최서우 |
▲ 형형색색의 문보트와 함께하는 월영교 |
ⓒ 최서우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브런치에 동시 게재합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과 본선서 맞붙는 박용진·강훈식, 단일화 가나?
- "만세" 소리 듣던 부산 '국민검사', 그가 지금 하는 일
- 열심히 살았지만, 경찰이 계속 쫓아다녔습니다
- '곰 인형' 하나로 바뀌는 소년범들... 질책보다 기회를 주세요
- 한밤중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벌어진 일... 너무 무서워요
- 기사 하나 썼는데... 수목원 책자에 제 그림이 들어간대요
- 갈수록 태산... 일본의 적반하장에 꼼짝 못하는 한국
- '술잔 투척' 김용진 경제부지사 사과 "특정인 향한 행동 아냐"
- 대구 수돗물서 '독성'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논란
- 국가안보실 "김정은, 대통령 실명 거론 위협 발언... 깊은 유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