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1분 듣기로 버텨요"..'고물가 시대' 구독료 줄이는 20·30세대

윤슬기 2022. 7. 28. 06:4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구글 인앱결제 시스템에 줄줄이 오른 음악·영상 '구독료'
구독료 부담에..서비스 해지하는 모습도
고물가 여파로 허리띠를 졸라 매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구독 서비스 해지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윤슬기 기자] 경기 침체 전망이 짙어지는 가운데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허리띠를 졸라 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월 고정지출 비용을 줄이기 위해 구독 서비스 해지하는 모습도 나타나는데, 일상 속 편리함 대신 필수적인 소비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최근 20대 직장인 A씨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구독을 해지했다. A씨는 "월급은 그대로인데 지출만 커지니까 걱정"이라며 "고정 지출을 줄일 방법을 생각하다가 정기 결제되는 구독 서비스를 줄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원래 넷플릭스, 쿠팡, 네이버 바이브까지 총 3개 구독하고 있는데 계산해보니 이 돈만 3만원정도 된다"며 "하루 1시간 남짓한 출·퇴근 이외에는 노래를 잘 듣지 않아서 바이브 구독을 해제하기로 했다. 노래가 듣고 싶으면 유튜브나 1분 미리듣기를 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A씨는 구독 서비스에 대해 "편리해서 이용하고 있지만 매달 나가는 비용이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라며 "사용하던 서비스들의 가격이 줄줄이 올라서 고민하고 있던 참이었다. 음식처럼 필수는 아니다 보니 절약하기 쉬운 유형"이라고 말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멜론·지니뮤직 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료가 인상됐다. 멜론은 지난달 말부터 약 10%가량 구독료를 올렸고 지니뮤직은 이용 상품에 따라 약 5~6% 인상했다. 또다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플로는 지난 4월부터 이용권별로 가격을 13~14%가량 올렸다. 비슷한 시기 바이브 역시 안드로이드 앱에서의 구독 가격을 약 16% 인상했다.

구독 서비스 가격이 인상된 건 구글이 인앱결제(앱 안에서 결제가 이뤄지는 것)에 수수료를 적용하기로 한 영향이 크다. 구글은 6월부터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사에 인앱결제 수수료를 최대 30% 부과하는 한편 아웃링크(외부연결 링크) 등을 활용한 외부 결제도 금지시켰다. 수수료 부담이 커진 플랫폼들은 가격 인상을 단행했고, 음악 구독 서비스뿐만 아니라 웨이브·티빙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도 줄줄이 서비스 이용 요금을 올렸다.


인앱결제 수수료 인상과 상관없이 요금을 인상한 구독 서비스도 있다. 국내 OTT 시장 점유율 1위인 넷플릭스는 지난해 말 프리미엄 기준 구독료를 17.2% 올렸고, 쿠팡은 6월부터 쇼핑과 영상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유료 멤버십 요금제 가격(기존 회원 포함)을 2900원에서 4990원으로 72%가량 인상했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 마련된 '지옥' 체험존의 넷플릭스 로고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렇다 보니 소비자 부담은 커지고 있다. 특히 구독 서비스에 친숙한 20·30세대 사이에서 구독료 인상에 대한 불만이 감지된다. 지난해 9월 쇼핑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정기구독 경험 등 '주례 상품 구입 행태 및 변화 추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0세대의 구독 서비스 이용 비율은 각각 75%, 65%로 40대(56%)와 50대 이상(55%)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물가로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은 '덜 필수적인' 구독 서비스를 줄여 대응하는 모습이다. 취업준비생 김모씨(25)는 1년 넘게 구독해온 넷플릭스를 결국 해지했다. 김씨는 "예전에 기묘한이야기, 오징어게임, 지금우리학교는 같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를 챙겨봤었지만 최근에는 볼만한 게 없기도 하고, 유튜브에 드라마 요약본이 올라오기 때문에 그걸 본다"며 "오히려 요약본이 더 재밌어서 유료 구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월 1만원 정도는 절약할 수 있으니 취준생 입장에서는 꽤 절약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경제도, 소비도 심리인데 특히 경기 침체가 예견되면서 소비 심리도 많이 위축된 상태"라며 "구독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플랫폼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이탈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